原電 35년--^^브로커가 판치는 -^이광회 및 ^^한삼희 칼럼!
페이지 정보
작성자 :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0건 조회 1,582회 작성일 2013-06-21 23:52본문
입력 : 2013.06.22 03:14
-
- 한삼희 논설위원
원자력발전소는 특정 기능을 하는 설비를 두 개 이상 장착해 하나가 고장 나더라도 다른 것이 기능을 대체하게 하고(多重性), 같은 기능을 맡는 두 개 이상 설비가 서로 다른 원리로 작동되도록 해야 하고(多樣性), 여러 설비가 동일한 원인으로 기능이 동시에 상실되지 않도록 서로 분리해 설치한다(獨立性)는 세 가지 원리에 따라 설계된다. 이렇게 여러 겹 안전장치를 갖췄기 때문에 중대 원전 사고는 고장과 실수가 여러 건 중첩됐을 때라야 터진다. 원자력계(界) 사람들이 시험 성적서까지 위조해가며 불합격품을 납품했던 제어 케이블은 원전에서 사고가 났을 때 작동하는 부품이다. 다들 설마 그 장치를 써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기야 하겠나 하는 생각을 가졌을 것이다.
작년 2월 고리원전 1호기에서 발생한 '12분 단전(斷電)' 사고에 대해 감사원이 작성한 조사 보고서를 읽어보면 원전을 책임진 사람들의 방심(放心)이 어느 정도 심각한 수준에 와 있는지 짐작할 수 있다. 사고 원인은 비상 발전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이었다. 고리1호기는 2007년 30년 수명이 만료된 후 심사를 거쳐 수명을 10년 연장한 원자로다. 당시 한국수력원자력은 고리1호기에 대해 안전 진단을 받았고, 2007년 2월 제출된 진단 결과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 가능성이 크므로 이중화(二重化)가 꼭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런데 진단 결과가 나온 다음 두 달 후인 2007년 4월 고리1호에서 누전 사고가 발생했고, 그때 문제의 비상 발전기가 실제 밸브 고장을 일으켜 작동에 실패하고 말았다.
한수원은 그 일을 겪고도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중화하기는커녕 예비품 솔레노이드 밸브를 고장 부품을 대신해 끼워 넣은 후 추가 예비품도 확보하지 않았다. 그랬다가 작년 2월 다시 밸브 고장으로 단전 사고가 난 것이다. 원전은 외부 전력선 두 회선과 비상 발전기 두 대씩을 설치해놓고 있다. 한수원 사람들은 외부 전력선 두 개가 모두 끊기고 비상 발전기 두 대 전부 고장 나는 일이 설마 생기겠나 하고 방심했을 것이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일본 총리실 산하 위원회가 계산한 걸 보면 전 세계 원전 430기의 가동 누적 연수(年數)가 1만4353년이었다. 그동안 노심 용해(溶解)까지 갔던 중대 사고가 5번 있었다. 원전 중대 사고는 평균 2870가동년에 한 번꼴로 터진 것이다. 원전 23기를 가동하고 있는 한국에선 125년에 한 번 정도 사고가 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만약 중앙정부의 원전 안전 담당 국장이 2년씩 순환 근무를 한다면 국장이 62명 바뀌는 동안 한 번 사고를 겪는 확률이다. 개별 원전 발전소장 임기가 5년이라면 발전소 소장이 자기 임기 중 사고를 만날 확률은 570분의 1이다. 원전 당국자들이 이 정도 확률의 사고를 피하기 위해 얼마나 혼신의 힘을 기울일지 알 수 없다. 많은 투자와 노력으로 원전이 전보다 훨씬 안전해졌다고 해도 개선된 안전성이 겉으로 드러나는 것도 아니다.
병사가 눈을 똑바로 뜨고 보초를 서게 하는 것만큼 어려운 일이 없다. 몇 주, 몇 달 동안 아무 일도 안 터지는데도 계속 긴장을 유지하게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원전 사고는 한번 터지면 국운(國運)이 휘청할 수 있는 일이다. '125년에 한 번'이라는 사고 확률이 원전 당국자들 개개인에겐 무시할 수준의 확률일지 몰라도 국민 입장에서 보면 개인 일생에서 사고를 만날 확률이 수명을 65년으로 쳐도 2분의 1이 넘는 셈이다. 어느 국민이 이런 리스크를 용납하려 하겠는가. 원전 당국자들이 방심하지 않게 만들 비상한 조치가 있어야 한다.
작년 2월 고리원전 1호기에서 발생한 '12분 단전(斷電)' 사고에 대해 감사원이 작성한 조사 보고서를 읽어보면 원전을 책임진 사람들의 방심(放心)이 어느 정도 심각한 수준에 와 있는지 짐작할 수 있다. 사고 원인은 비상 발전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이었다. 고리1호기는 2007년 30년 수명이 만료된 후 심사를 거쳐 수명을 10년 연장한 원자로다. 당시 한국수력원자력은 고리1호기에 대해 안전 진단을 받았고, 2007년 2월 제출된 진단 결과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 가능성이 크므로 이중화(二重化)가 꼭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런데 진단 결과가 나온 다음 두 달 후인 2007년 4월 고리1호에서 누전 사고가 발생했고, 그때 문제의 비상 발전기가 실제 밸브 고장을 일으켜 작동에 실패하고 말았다.
한수원은 그 일을 겪고도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중화하기는커녕 예비품 솔레노이드 밸브를 고장 부품을 대신해 끼워 넣은 후 추가 예비품도 확보하지 않았다. 그랬다가 작년 2월 다시 밸브 고장으로 단전 사고가 난 것이다. 원전은 외부 전력선 두 회선과 비상 발전기 두 대씩을 설치해놓고 있다. 한수원 사람들은 외부 전력선 두 개가 모두 끊기고 비상 발전기 두 대 전부 고장 나는 일이 설마 생기겠나 하고 방심했을 것이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일본 총리실 산하 위원회가 계산한 걸 보면 전 세계 원전 430기의 가동 누적 연수(年數)가 1만4353년이었다. 그동안 노심 용해(溶解)까지 갔던 중대 사고가 5번 있었다. 원전 중대 사고는 평균 2870가동년에 한 번꼴로 터진 것이다. 원전 23기를 가동하고 있는 한국에선 125년에 한 번 정도 사고가 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만약 중앙정부의 원전 안전 담당 국장이 2년씩 순환 근무를 한다면 국장이 62명 바뀌는 동안 한 번 사고를 겪는 확률이다. 개별 원전 발전소장 임기가 5년이라면 발전소 소장이 자기 임기 중 사고를 만날 확률은 570분의 1이다. 원전 당국자들이 이 정도 확률의 사고를 피하기 위해 얼마나 혼신의 힘을 기울일지 알 수 없다. 많은 투자와 노력으로 원전이 전보다 훨씬 안전해졌다고 해도 개선된 안전성이 겉으로 드러나는 것도 아니다.
병사가 눈을 똑바로 뜨고 보초를 서게 하는 것만큼 어려운 일이 없다. 몇 주, 몇 달 동안 아무 일도 안 터지는데도 계속 긴장을 유지하게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원전 사고는 한번 터지면 국운(國運)이 휘청할 수 있는 일이다. '125년에 한 번'이라는 사고 확률이 원전 당국자들 개개인에겐 무시할 수준의 확률일지 몰라도 국민 입장에서 보면 개인 일생에서 사고를 만날 확률이 수명을 65년으로 쳐도 2분의 1이 넘는 셈이다. 어느 국민이 이런 리스크를 용납하려 하겠는가. 원전 당국자들이 방심하지 않게 만들 비상한 조치가 있어야 한다.
입력 : 2013.06.20 03:05 원전 異常 발생해도 합리적으로 다뤄온 美 규제기구 NRC, 모두 전문가들로 구성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