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신흥 사대부의 역성혁명이 아니라며-한국인 학자 엿먹이는?-美國人학자! > 자유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검색

자유

자유

조선 신흥 사대부의 역성혁명이 아니라며-한국인 학자 엿먹이는?-美國人학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0건 조회 1,507회 작성일 2013-03-24 20:45

본문

 
 
 
 
 
 
 
 
 
 
조선 아닌 고려시대서 양반은 시작됐다?
조선왕조의 기원
/ 존 B 던컨 지음, 김범 옮김 / 너머북스

고려 후기인 1260년부터 1392년 동안 ‘고려사 세가’에 기록중앙 관원은 모두 2660명이다.
출신 가문이 확인되는 관원은 199개 가문 1303명(49%)이며
남양 홍씨와 광산 김씨, 개성 왕씨, 경주 이씨, 안동 권씨, 성주 이씨 등 주요 22개 가문에서 375명의 관원과 187명의 재추(宰樞·재상)를 배출했다.
199개 가문 중 11% 남짓인 22개 가문에서 모든 관원의 14%와 재추의 23%를 차지한 것이다.

조선 개국 직후인 태조·정종(1392∼1400년) 대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하는 750명의 중앙 관원을 분석한 결과,
전주 이씨와 황려 민씨, 안동 권씨, 파평 윤씨 등 주요 34개 가문에서 180명의 관원과 94명의 재추를 배출했다.
주요 34개 가문의 관원과 재추 배출 비율이 약 24%와 57%로 고려 후기와 비교해 대폭 늘어난 것이 특징이다.

미국 내 한국학 연구를 대표하는 역사학자인
존 B 던컨(68) 캘리포니아주립대 로스앤젤레스캠퍼스(UCLA) 아시아언어문화학부 교수이자 한국학연구소장은
“이 같은 분석 결과는 조정이 왕조교체로 옛 귀족을 축출하고 좀더 넓게 구성된 지배층으로 확장되기보다는 소수의 특정 가문에 권력이 더욱 집중됐음을 보여준다”고 역설한다.
국사 교과서에서 배운 것처럼
고려 말 ‘신흥 사대부’ 같은
새로운 엘리트 집단의 출현은 없었으며
고려와 조선의 지배층은 높은 연속성을 갖고 있다는
주장을 담은
던컨 교수의 지난 2000년 저서가 최근 우리말로 번역 출간됐다.

1966년 미군으로 한국에 와 비무장지대 부근에서 근무한 뒤 고려대에서 한국사 공부를 시작한 저자는
1989년부터 UCLA 교수로 재직하며 지금까지 24명의 한국학 박사를 배출하며 서구의 한국사 연구를 주도하고 있다.
책은 저자가
지난 2006년 타계한 미국 내 ‘한국학의 대부’ 제임스 팔레 워싱턴주립대 교수의 지도로 받은 박사학위 논문을 수정보완해 출간한 것이다.

진골귀족 對 지방호족,
권문세족 對 신진사대부,
훈구파 對 사림파
등과 같이 주도세력의 변천을 통해 한국사의 역동적인 발전 과정을 설명해온 한국 역사학계의 ‘내재적 발전론’을 비판하고
페르낭 브로델로 대표되는 아날학파의 ‘장기적 지속성론’의 관점에서
고려와 조선 지배층의 동질성 내지 일체성을 강조한 책은
미국에서 발간 직후 국내에서도 화제가 된 바 있다.


물론 그렇다고 저자가
한국사의 최대 전환기였던 1392년 고려·조선 왕조 교체를
일제 식민사학자들의 주장처럼
역사적 중요성이 전혀 없는 단순한 ‘궁중반란’으로 치부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책의 제목 그대로 조선왕조의 뿌리를 고려왕조에서 찾고 있는 저자는
1392년 역성혁명(易姓革命)의 의미를
고려 전기부터 지속적으로 추구해 온 중앙집권적 관료제의 완성에서 찾는다.
이를 위해, 저자
 
오스만 터키·사산조 페르시아·중국 등
前근대 비서구 관료사회를 분석한
이스라엘의 정치사회학자 슈무엘 노아 아이젠슈타트(1923∼2010)
의 연구를 참조했다.

고려 전기(10세기)에서 조선 전기(16세기)에 이르는 거의 600년 동안
임명된 중앙 관료 약 5000명의 성분을 조사한 저자는?
중앙 양반 가문의 지속성을 고려할 때
 
 
 
관료적 귀족층으로서 양반의 기원은?
 
 
 
조선왕조의 건국이 아닌,
 
 
고려시대인 11세기 후반부터 12세기 전반에 시작됐다고 주장한다.
조선 건국의 의미에 대해, 저자는
“지방에 근거한 향리 출신의 지배층(신흥 사대부)이
타락한 옛 중앙 귀족에 승리한 것이 아니라,
중앙의 관료적 귀족이
 
 
지방자치적이며 향리 중심의 신라·고려 교체기의
 
 
 
옛 제도에 궁극적으로 승리를 거둔 것”이라고 말한다.
 
 
10세기 고려는 과거제도 등 중국의 관료제를 수용해
중앙집권적 정치체제를 수립하려 했지만
 
 
지방 세력을 완전히 제압할 수 없었는데
이러한 노력이 4세기 이상 흐른 뒤
정점에 도달한 사건이
바로 1392년 왕조 교체였다는 설명이다.

 
 
최영창 기자 ycchoi@munhwa.com
 
 
*********************************
 
 
 
 

새로 읽는 조선 …
고려 지배층 그대로 남아
[중앙일보]입력 2013.03.23
조선왕조의 기원
존 B 던컨 지음
김범 옮김, 너머북스
488쪽, 2만5000원

미국 UCLA 대학의 한국사 연구자 존 던컨(68) 교수의 노작(勞作)이다. 제목만을 놓고 볼 때 고려 후기 이후의 역사를 다룬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책은 조선왕조의 기원을 고려 건국 전후까지 거슬러 올라가 찾고 있다. 조선과 고려 사이의 오랜 지속성을 강조하는 셈이다.

 제목을 조선왕조의 ‘형성’이라고 하지 않고 역사연구자들이 가능한 쓰지 않으려는 ‘기원’을 선택한 이유가 여기에 있을 터다. 조선왕조의 건국을 왕조 교체가 아닌 신흥사대부의 등장 등 지배계층 교체로 해석해온 그간의 선행 연구에 대한 본격적인 비판서다.

 이런 내용은 한국사의 상식적인 흐름과 큰 차이가 있다. 주요 시기마다 새로운 사회세력이 등장해 역사를 끌어가고, 또 그들이 지배세력으로 부상했다는 게 우리가 학교에서 배운 한국사다. 예컨대 신라 말 진골에 대항했던 육두품 등 호족의 등장, 이어 문신귀족에 반기를 들었던 무인들의 진출, 지방 향리 출신 신흥 사대부의 출현과 조선의 건국, 나아가 조선 전기 훈구파에 맞선 중소 지주 출신 사림파의 등장과 사화, 경영형 부농의 출현과 농민 봉기 등이 그것이다. 주도 세력의 교체와 확장을 강조하는 논리는 현행 역사 교과서의 기조를 이루고 있다.

고려말 무신으로 조선을 개국한 태조 이성계(1335~1408)의 초상화.
조선왕조의 건국을 신흥사대부의 등장에 의한 지배계층 교체로 본 기존 한국 역사학계의 학설을 던컨 교수는 정면으로 비판하며 고려와 조선 권력층의 오랜 지속성을 강조한다. [중앙포토]
 
던컨 교수는 이런 도식에 문제를 제기한다. 특히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왕조 교체와 그 의미를 둘러싼 종래의 시각을 근본적으로 뒤흔든다. 그는 무엇보다 조선의 건국을 신흥 사대부의 출현과 연관 짓지 않는다. 고려 전기 이후 계속 추구해온 중앙 집권적 관료체제의 완성으로 보는 것이다. 고려의 중앙 관료 귀족이 지방 귀족인 향리를 완전히 제압하는 긴 역사적 과정으로 이해하고 있다.

 
신흥사대부의 등장과 조선의 건국이라는 통설에 익숙한 독자에게 이런 주장은 충격적일 것 같다. 던컨 교수는 이런 점을 고려해 고려의 정치제도, 중앙 관료적 귀족의 흥기, 왕조교체기의 양반, 고려후기의 제도적 위기, 개혁과 왕조 교체, 개혁 이념 등을 집중 검토한다.

 
특히 고려 이후 조선 초기까지 중요 관직자들의 출신 가문과 등용 방식, 경력 등을 치밀하게 따진 대목이 인상적이다. 그 결과, 조선왕조의 건국 주체들이 고려의 지배 엘리트들 연장선상에 있었고, 또 이들의 기원이 고려 건국 전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사실을 극명히 드러내고 있다. 요컨대 이 책은 조선의 건국에 대한 문제 제기에 그치지 않고 새로운 역사상까지 제시하고 있다.

 
이런 논의의 근간에는 귀족제와 관료제 사이의 긴장과 형평이라는 저자의 보다 큰 구도가 깔려 있다. 이는 한국학의 대부로 불렸던 제임스 팔레(1934~2006) 교수가 조선 왕조사회의 특성을 밝히려 도입한 가설인데, 던컨 교수는 이를 고려 왕조까지 확장하고 있다. 고려와 조선 사이의 지속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저자는 한국사학계의 ‘내재적 발전론’과 그 문제점을 거듭 비판한다. 내재적 발전론은 일반인도 꽤 친숙한 이야기일 듯하다. 일제는 한국 병합을 정당화하기 위해 한국사의 정체성을 강조했고. 해방 이후 한국 역사학계는 이를 극복하는 데 주력해왔다. 내재적 발전론은 이 과정에서 형성됐다. 시기별 주요 변동을 역사의 역동성과 발전의 징후로 해석했다. 한국사 지배 세력의 변천에 대한 논의도 그 연장선상에 있다.

 
이 가설은 서구의 역사 발전을 보편적인 모델로 간주하는 한편 자민족 중심주의도 표방하고 있다는 점에서 오래 전부터 비판받아왔다. 이 책 역시 학계의 주류로 굳어진 내재적 발전론과 지적 긴장을 보여주고 있으나 향후 건설적인 논의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그만큼 시각차가 큰 것이다.

 그럼에도 이 책의 특장을 놓쳐선 곤란하다. 전문 연구서로서의 공력이 있을 뿐 아니라 글이 유려해 일반 독자도 저자의 문제의식을 공유할 수 있다. 역사의 대중화라는 화두에도 중요 논점이나 내용은 여전히 전문가들의 세계에만 갇혀 있는 것이 우리네 현실이다. 풍요로우면서도 깊이 있는 역사 서술을 만나는 즐거움이 각별하다.


이훈상
 
서평에서 흔히 옮긴이를 언급하지 않는 데, 이 책에선 번역의 의미를 되새겨봐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역자 김범(43·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씨는 이미 제임스 팔레 교수의 『유교적 경세론과 조선의 제도들』을 옮긴 적이 있는데 또 다시 이 어려운 작업을 마무리했다.

 
그 동안 에드워드 와그너· 마르티나 도이힐러 등 서구의 한국사 연구자들은 도식적이거나 획일적인 역사 이해를 경계해왔다. 요즘 우리 사회는 이해·입장·해석의 다양성을 지향하고 있다. 주류 한국사 연구와는 다른 시각에서 쓰인 이들의 연구 성과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이제 던컨 교수의 논저도 추가할 수 있게 됐으니 고마운 일이다.

이훈상 동아대 교수·한국사

●이훈상
한국사회사·문화사·예술사 전공. 저서 『조선후기의 향리』(일조각)로 두계학술상을 받았다. 역서로 『전통 한국의 정치』(제임스 팔레지음) 『한국사회의 유교적 변환』(마르티나 도이힐러) 『조선왕조사회의 성취와 귀속』 (에드워드 와그너) 등이 있다. 하버드대·듀크대·도쿄대 초빙학자를 지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047건 119 페이지
자유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2277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6 2013-03-24
열람중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8 2013-03-24
2275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66 2013-03-23
2274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44 2013-03-22
2273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33 2013-03-22
2272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23 2013-03-21
2271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25 2013-03-20
2270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65 2013-03-20
2269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4 2013-03-19
2268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74 2013-03-18
2267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30 2013-03-17
2266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741 2013-03-17
2265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1 2013-03-17
2264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2 2013-03-17
2263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69 2013-03-17
게시물 검색

34919 대전시 중구 대흥로121번길 8 대전고동창회관 2층 | 회장 : 이왕구
전화 : (042) 257-0005 | 팩스 : (042) 257-0518 | 메일 : daego@daego.kr
Copyright 2001~2024 대전고등학교총동창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