正祖大王의 헤드십 vs. 世宗大王의 리더십:기업운영同門필독 요망! > 자유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검색

자유

자유

正祖大王의 헤드십 vs. 世宗大王의 리더십:기업운영同門필독 요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0건 조회 1,373회 작성일 2013-01-01 14:42

본문

 
 
 
 
 
[공리공담]
 
 
 
 
 
正祖대왕의 헤드십, 世宗대왕의 리더십
 
 
배병삼 | 영산대 교수·정치사상
조선후기 正祖는 군사(君師)라,
 
 
‘임금이자 스승’으로 불렸다.
임금이란 지고의 권력자이고, 스승은 최고의 지식인이다.
권력에다 지식을 겸한 ‘군·사’는 얼핏 플라톤의 ‘철학자·왕’처럼
정치가의 이상형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의 조정은 임금의 혼잣말로 넘쳐났다.
어느 신하도 ‘임금이자 스승’인 정조의 말에 감히 대들지 못했기 때문이다.
 
 
 
 
 
 
실학자로 알려진 정약용
 
 
 
 
실은 정조의 ‘어용(御用) 지식인’에 불과했다
 
 
.

외려 정조의 통치 행태는 권모와 술수였다
.
연전에 발굴된 영의정 심환지와의 비밀편지 속에서
그의 마키아벨리적 면모가 잘 드러났다.
정조가 죽자 ‘세도정치’가 시작되었다.
 
 
 
세도기의 경직된 반동정치는?
 
 
조선을 일제의 식민지 처지로 몰아갔다
.
 
 
 
그래서 우리는 영·정조 대의 짧은 황금기를 내내 안타까워한다.
 
 
 
그러나  짧은 막간은 정조의 통치 스타일 때문이었다.
혼자 고민하고, 혼자 결정하고, 혼자 지시하는
 
 
 
헤드십
 
 
 
이른바 카리스마 콤플렉스
 
 
 
 
잉태한 추락이었다.


 
 
 
조선초기 세종에겐 쓸 만한 사람이 없었다.
 
 
 
왕립대학, ‘집현전’을 설치해 인재를 길러야 할 형편이었다.
장관급 신하들의 직함이 여러 개였던 것도 인재 부족 때문이었다.
 
 
이를테면 영의정이란 공식 직함 뒤에
 
 
 
‘겸(兼) 관상감, 겸 대사성, 겸 성균관장’이라는 직책들이 쭉 따라붙는 식이다.
 
 
 
名宰相으로 알려진 황희
 
 
 
 
 
 
 
막상 그 속을 들여다보면 불륜과 탐욕으로 얼룩진 인물이었다.
 
 
 
 
 
 
 

이런 악조건 속에서도 ‘최고의 名君’ 된 데는 까닭이 있으리라.
왕위에 오르자마자 첫 번째로 한 말이 ‘의논하자’였다는 점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내가 인물을 잘 알지 못하니, 좌의정·우의정과 이조·병조의 당상관과 함께 의논하여 관리를 임명하고자 한다”는 <왕조실록>의 기록이
세종 리더십의 성격을 잘 전하고 있다.
 
 
 
이를 두고 정치학자 박현모-세종 전문 연구학자-는
“신하들의 의견을 들음으로써 그들의 동참을 촉구하는 한편,
 
 
정치란 혼자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더불어 함께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역설하는 것이다
 
 
라고 해석했다.(<세종처럼>)

그렇다면
정조의 통치 스타일은 ‘홀로 리더십’으로,
세종은 ‘함께 리더십’으로 이름 붙일 수 있겠다
.
나아가 혼자 고민하고 혼자 말하는
 
 
 
 
 
정조의 통치 행태를 ‘입의 리더십’이라면,
 
 
함께 더불어 정치를 행하는 세종의 스타일은 ‘귀의 리더십’
이라고도 이를 수 있으리라.
정조의 시대가 막간극으로 끝나버린 것과
세종의 ‘함께 의논하기’ 방식이
500년간 초석이 되었다는 것 사이에는 주목이 필요하다.

오늘날 민주주의가, 통치자는 지시하고 인민은 이에 복종하는 상명하복 체제가 아님은 물론이다.
국민이 함께 참여하여 의사를 결집해내는 과정의 정치체제이기에
‘민주-주의’다.
이 대목에서
 
 
 
대통령의 영어식 표현인 ‘프레지던트’의 본디 뜻이
 
 
 
 
 
‘사회자’임은 눈여겨볼 만하다.
 
 
대통령이란
 
 
 
 
 
위에서 지시하고 명령하는 권력자가 아니라
여러 사람들의 입을 열게 하고,
 
그들로 하여금 말하게 만드는 사회자, 또는 회의의 조정자라는
 
뜻이다
.

이른바 ‘지식경영 시대’를 맞은 오늘날,
 
 
 
기업가 리더십도 여기서 멀지 않다.
“참된 지도자는 사람들을 카리스마로 이끌지 않는다. 모든 것을 자기 손아귀에 집중시키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팀을 구성한다.
조종이 아닌 성실성으로 지배한다.
영리한 것이 아니라 단순하고 정직하다.”(<피터 드러커 자서전>)
팀을 이루어 회의를 통해 의사를 결집하는 것이
 
 
 
기업 경영가가 갖춰야 할 필수 덕목이라는 지적이다.

 
 
최근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리더십을 갖춘 후보가 없다는 푸념을 종종 접한다. 야당 후보에 대해서는 난관을 돌파하는 카리스마적인 면모가 보이지 않는다는 비난도 있다. 하긴 사퇴한 안철수, 심상정 후보나 박근혜, 문재인 후보들의 면면도 카리스마와는 거리가 멀어 보인다.
나는 카리스마가 부재한, 무력해 보이는 정치가들의 출현이야말로
참된 민주주의 시대로 접어드는
 
 
 
 
 
 
 
유쾌한 현장이라고 보고 싶다.
 
 
 


최근 한 언론은 두 후보의 리더십에 대한 조사를 보도했다.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는 국가원수로서 나라를 대표하는 대외적 리더십에서,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는 대국민 소통과 친화력 등 소통 리더십에서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는 것(조선일보).
조사를 이끈 한국정책학회 박성희 교수가
“박 후보는 오랫동안 당대표, 유력 대선주자로 주목받으면서 ‘힘 있는 사람’ 이미지가 강하고,
문 후보는 정치인 이미지가 약해 앞으로 소통을 잘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주고 있다”고 평가한 부분도 눈에 띈다.
이 연구조사에 따르면 이번 선거는 강한 리더십이냐, 약한 리더십이냐를 고르는 셈이다.

나는 이번 대통령 선거를 민주주의의 본령에 걸맞은 리더십 선택의 기회로 본다.
차후 한국 정치의 지형이
 
 
상명하복적인 정조 리더십의 형태가 될 것인지,
 
 
 
 
 
아니면 함께 더불어 행하는 세종의 리더십으로 갈 것인지
판가름하는 분수령 말이다.
이번 대통령 선거의 시대적 의의가 중차대한 까닭이다.
 
 
 
 
 
 
 
 
 
 
위의 글은 대선 10일전에 올린 글임을 참조 바랍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047건 129 페이지
자유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2127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0 2013-01-02
2126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 2013-01-02
2125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49 2013-01-02
2124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48 2013-01-02
열람중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74 2013-01-01
2122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98 2013-01-01
2121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751 2013-01-01
2120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867 2013-01-01
2119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41 2013-01-01
2118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1 2013-01-01
2117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7 2013-01-01
2116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91 2013-01-01
2115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82 2012-12-30
2114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06 2012-12-30
2113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6 2012-12-30
게시물 검색

34919 대전시 중구 대흥로121번길 8 대전고동창회관 2층 | 회장 : 이왕구
전화 : (042) 257-0005 | 팩스 : (042) 257-0518 | 메일 : daego@daego.kr
Copyright 2001~2024 대전고등학교총동창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