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학위 -**홍경래의 난-앤더스 칼슨-런던대 교수 인터뷰는? > 자유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검색

자유

자유

박사학위 -**홍경래의 난-앤더스 칼슨-런던대 교수 인터뷰는?

페이지 정보

작성자 :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0건 조회 1,696회 작성일 2012-08-27 09:27

본문








박사논문은 ‘홍경래 난’




… 高大 한국사 강의 마치고 출국 앞둔  앤더스 칼슨 런던대 교수


“한국의 19세기는 민란의 시대




세도정치·리더십 부재 비판 많지만




                 사회변화는 역사의 흐름일 뿐


 

앤더스 칼슨(46) 영국 런던대 동양·아프리카대학(SOAS) 교수는 박사논문으로 19세기 초 홍경래의 난을 연구했다. 덕분에 한국사 연구가들 사이에서도 상당히 특이하게 평가된다. ‘홍경래 난’(1811년) 연구자는 칼슨 교수를 포함해 오수창 서울대 교수 등 국내외로 3명밖에 없다. 한국사에서 순조-헌종-철종으로 이어지는 1860년까지 세도정치와 민란 등 19세기 연구는 거의 중세의 암흑과 가까운 수준으로, 18세기 영·정조 시대에 대한 화려한 조명과 비교하면 더욱더 척박하다.

  • SSI_20120821165720_V.jpg
▲ 앤더스 칼슨 런던대 교수



20일 서울 효자동에서 만난 칼슨 교수는 “원래 근대 한국에 관심이 있는데, 먼저 19세기 한국을 공부해야 한다고 생각했다.”면서 “19세기는 ‘민란의 세기’로 관심이 많았다. 지도교수인 유럽 한국학의 대모인 마르티나 도이힐러 런던대 교수가 홍경래의 난을 연구해 보라고 권유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7월 초 방한해 고려대 국제하계대학에서 한국 근·현대사를 강의한 그는 27일 출국하기에 앞서 한국의 역사학자들과 막걸리 파티로 사랑방 좌담회를 열고 있었다.

“19세기 초 민란이 많았던 이유는 국가가 쇠퇴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경제적으로 발전하고 있었기 때문이고, 중앙정부와 상업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지방사회 사이에 사회·경제적 갈등이 불거져 홍경래 난이 일어났다.”고 말했다. 19세기에 조선 왕조의 국력은 어디서부터 약해졌나? 칼슨 교수는 1809~1815년의 대흉년을 이유로 들었다. 6~7년간의 가뭄과 흉작은 조선의 국부, 경제력을 바닥에서부터 무너뜨렸다는 것이다. 그는 “20세기 초 식민지배의 아픈 경험 때문에 19세기 조선을 비판적으로 보는데, 너무 비판적으로 보면 안 된다. 긍정적으로 보라.”고 덧붙였다.

칼슨 교수는 “19세기 세도정치와 어린 왕들의 리더십 부재를 자꾸 비판하는데, 부적절하다. 조선에는 500년 전통의 관료제도가 버티고 있었기에 리더십에 대한 문제제기는 적절하지 않다. 또한, 세도정치도 관료제도하에서는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한 사람의 리더십이 중요한 게 아니라 모든 사람의 결정과 행동이 중요하고, 사회 변화는 개인이 아니라 역사의 흐름으로 봐야 한다. 국고가 탕진돼 세금을 더 거두려고 제도를 바꾸자 1860년대에 다시 민란이 일어난 것에서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조선의 식민지화는 내부로부터의 붕괴가 아니라 외부 변수 즉, 일본의 야심과 서양국가들의 조선에 대한 무관심이 가장 큰 원인”이라며 “만약 홍경래의 난이 성공했더라도 성공적인 근대화로 가기보다는 제국주의적 압력으로 조선은 훨씬 더 약해졌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19세기 말 동학혁명 역시 제국주의적 압력으로 성공할 수 없는 운명이었다고 덧붙였다.

한류가 유럽의 한국학 연구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에 대한 평가도 하였다.

“K팝과 한류가 유럽 청소년들 사이에 인기를 끌자, 최근 런던대 한국학 신입생이 30여명으로 늘었다.”고 했다. 10년 전에는 5명에 불과해 폐강될까 조마조마했다며 방긋 웃는다. 그는 “런던대는 학비도 있고, 입학 조건도 까다로워서 적지만, 학비가 없는 프랑스나 이탈리아 등 한국학과에는 100여명씩 몰린다는 소문을 들었다.”고 했다. 스톡홀름대학을 마치고 그저 한국에 매료돼 1991~1993년 2년 6개월 한국에서 살았다는 그는 “런던대 한국학과에서 1학년을 마치고 나면 고려대의 교환학생으로 오는데, 학생들이 완전히 한국에 넘어간다.”고 했다. 홍대, 이대, 명동, 대학로 등 24시간 다이내믹하게 재밌고 즐겁게 놀 수 있기 때문이란다.

한류 덕분에 신입생이 늘어난 것은 좋은 일이지만, ‘한국학의 정체성은 무엇인가.’가 유럽 학계에서는 새로운 고민거리다. 한국을 알고 싶어하고 한국어를 배우는 유럽의 젊은이들이 늘어났지만, 한국학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끌어내는 것이 과제이기 때문이다.

글 사진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SSI_20120823231724_L2.jpg 해인사 목조비로자나불 ‘보물’ 예고  [서울신문] 2012.08.24 (금) 문화재청은 경남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과 복장유물을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23일 밝혔다. 특히 복장유물은 한국 조각보의 역사가 500년 이상 됐음을 보여주는 증거로도 가치가 높다.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은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제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7개 사찰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서울신문] 2012.08.23 (목) 충북 보은 법주사 등 7개 사찰이 세계유산 잠정목록 대상 사찰로 선정됐다. 국가브랜드위원회는 전통사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고자 문화재청 등과 연구 검토한 끝에 법주사, 공주 마곡사, 해남 대흥사, 순천 선암사, 영주 부석사, 안동 봉정사, 양산 통도사 등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SSI_20120822022331_L2.jpg 102년 만에 되찾는다 원형 남은 유일한 대한제국 공관  [서울신문] 2012.08.22 (수) 대한제국이 주미공사관으로 1891년부터 1905년까지 사용했던 미국 워싱턴 소재 건물을 문화재청과 문화유산국민신탁이 되사들였다고 21일 밝혔다. 대한제국 외국 공관 중 유일하게 원형이 남아있는 건물로 일제 강점기 과정에서 강제 매각된 소유권을 102년 만에 되찾았다는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SSI_20120821165728_L2.jpg “한국경제, 북한이 돌파구… 정치 잊고 經協 서둘러야”  [서울신문] 2012.08.22 (수) “현재 세계 교역규모 12~15위를 왔다 갔다 하는 한국이 중국과 러시아, 자원 부국들이 급부상하는 상황에서 지금과 같은 경제 외교적 지위를 유지하려면 남북관계에서 돌파구를 열어야 합니다.” 지난 14일 서울 광화문 근처 한 역사연구소에서 만난 이광재(47) 전 강원도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SSI_20120821165720_L2.jpg 박사논문은 ‘홍경래 난’… 高大 한국사 강의 마치고 출국 앞둔 앤더스 칼슨 런던대 교수  [서울신문] 2012.08.22 (수) 앤더스 칼슨(46) 영국 런던대 동양 아프리카대학(SOAS) 교수는 박사논문으로 19세기 초 홍경래의 난을 연구했다. 덕분에 한국사 연구가들 사이에서도 상당히 특이하게 평가된다. ‘홍경래 난’(1811년) 연구자는 칼슨 교수를 포함해 오수창 서울대 교수 등 국내외로 3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SSI_20120820182417_L2.jpg ‘대한매일신보’ ‘한성순보’ 문화재 된다  [서울신문] 2012.08.21 (화) 문화재청은 영문 한글판 신문인 대한매일신보(위 서울신문 전신)와 최초의 근대 신문인 ‘한성순보’ 등을 문화재로 20일 등록 예고했다. 또한 최초의 근대 민간 신문인 ‘독립신문’ 등 신문 5건과 ‘대조선 독립협회 회보’ 등 잡지 2건도 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 영국 언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SSI_20120817181544_L2.jpg 줄거리 탄탄 영화화에 안성맞춤… 오래된 소설 재조명에 더 잘팔려  [서울신문] 2012.08.18 (토) 밀고 당기고. 문학과 영화의 관계가 그렇다. 베스트셀러 소설을 영화화하고, 영화가 개봉되면 다시 원작소설이 더 팔린다. 어쨌든 요즘 소설은 영화와 불가분의 관계로, 누이 좋고 매부 좋고다. 문학은 영화에 마르지 않는 우물 같은 영감의 원천이 된다. 올해 문학-영화의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창덕궁 주합루 연경당 보물 지정  [서울신문] 2012.08.15 (수) 문화재청은 창덕궁의 주합루와 연경당등 두 곳을 국가지정문화재인 보물로 지정했다고 14일 밝혔다. 보물 1769호로 등재된 주합루는 정조 즉위 원년(1776) 창덕궁 후원에 임금이 직접 지은 글과 그림을 보관하기 위해 건립한 2층 건물이다. 1층에는 숙종 어필인 규장각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SSI_20120814175330_L2.jpg 백제 철제대도서 ‘금상감’ 첫 확인  [서울신문] 2012.08.15 (수) 금으로 봉황 무늬 등을 화려하게 상감(象嵌 박아넣음)한 백제시대 큰 칼 유물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확인됐다고 국립공주박물관이 14일 밝혔다. 이번에 발견된 상감기법은 백제에서 제작해 일본으로 넘어간 이소노카미 신궁(石上神宮)의 칠지도(七支刀)와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고 박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SSI_20120814175235_L2.jpg “다른 시각과 대립적일 수 있지만 민주주의 적으로 규정하면 안 돼”  [서울신문] 2012.08.15 (수) “캐나다 정치인 가운데는 영국 여왕에 대해 경의를 표하기를 거부하는 이들이 있다. 퀘벡주에서는 캐나다로부터 독립하겠다는 의원이나 시민들이 활동하고 있기도 하다. 물론 이들은 좋은 의원이고 시민이지만 캐나다 납세자들의 돈으로 활동을 하고 있다. 이렇게 현재의 시스템을 거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15일 광복절 맞는 독립기념관 문화재청 행안부] 이준 한용운 등 묘역 7곳 문화재 등록 예고  [서울신문] 2012.08.14 (화) 문화재청은 이준과 안창호, 한용운, 손병희 등 서울 지역에 흩어져 있는 독립유공자 묘역 7곳을 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고 13일 말했다. 문화재청이 이번에 등록 예고한 묘소 7곳은 모두 애국정신을 기릴 수 있는 역사적 교육적 가치가 큰 곳이라 문화재 등록을 추진하게 됐다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SSI_20120814012809_L2.jpg 100년 넘게 독도 지켜온 ‘사철나무’ 천연기념물로  [서울신문] 2012.08.14 (화) 강한 해풍과 열악한 토양 조건에도 불구하고 독도를 100년 동안 지켜 온 독도 사철나무(동그라미)가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로 지정 예고된다. 문화재청은 경북 울릉군 독도리에 있는 ‘독도 사철나무’를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13일 밝혔다. ‘독도 사

'서울신문'만 골라보기관련기사(7개) 보기지면PDF 보기

SSI_20120813171719_L2.jpg [15일 광복절 맞는 독립기념관 문화재청 행안부] 가장 오래된 애국가 음반 공개  [서울신문] 2012.08.14 (화) 광복절을 앞두고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애국가 음반이 공개됐다. 독립기념관은 13일 서울 중구 태평로 코리아나호텔에서 광복 전인 1942년 애국가 2종과 무궁화가가 수록된 음반 ‘애국가’를 선보였다. 이 음반은 재미한족연합위원회가 국치일을 폐지하고 독립을 쟁취해 ‘승리의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SSI_20120811010629_L2.jpg 김소월 ‘진달래꽃’ 대표시집 1위  [서울신문] 2012.08.11 (토) 문학평론가들은 한국현대문학사를 대표하는 시집으로 김소월의 ‘진달래꽃’(1925년 매문사 펴냄)을 꼽았다. 시 전문 계간지 ‘시인세계’는 창간 10주년을 기념한 가을 특집호에서 문학평론가들이 뽑은 한국 대표시집 순위를 10일 발표했다. 평론가 75명이 각각 고른 시집 1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SSI_20120810182838_L2.jpg “일사불란한 정당정치 지향하는 사회에 지적성찰 줄 것”  [서울신문] 2012.08.11 (토) “1989년 전세계적으로 냉전이 종식됐지만, 2012년 한국은 여전히 북한과 체제경쟁을 벌여야 하는 냉전이 지속되고 있다. 한반도의 냉전을 끝내는 방안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1949~89년 냉전 속에서 서구의 정치사상가들은 이를 끝내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 왔는지를 학문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SSI_20120810174848_L2.jpg 명랑소설서 사회소설로 ‘변신’ 소외된 이웃의 삶 고스란히…  [서울신문] 2012.08.11 (토) “소년출세지만 ‘정신 차리자’라고 생각했어요.” 최근 소설집 ‘비행운’(문학과지성사 펴냄)을 낸 소설가 김애란(32)은 지난 9일 서울 중구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22세에 대산문학상으로 데뷔했으니, 어른들이 인생에서 가장 기피해야 한다는 소년출세 아니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아시아 문화주간 광주서 열려  [서울신문] 2012.08.10 (금) 올해로 제2회를 맞은 ‘아시아 문화주간’이 19일부터 광주에서 열린다. ‘아시아의 길-문화의 꽃이 피다’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행사에는 아시아 19개국 문화 관련 부처가 참여한다. 한 중앙아시아 수교 20주년을 기념해 한국과 중앙아시아 5개국 문화장관 회의가 열리고,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SSI_20120809190949_L2.jpg 광주 충효동 왕버들군 천연기념물 지정예고  [서울신문] 2012.08.10 (금) 문화재청은 광주 북구 충효동 왕버들군(群)을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9일 밝혔다. 이곳은 1500년대 말에 충효마을의 상징 숲이자 비보림(裨補林 풍수지리설에 따라 지형적 결함 등을 보완하고자 만든 숲)으로 조성됐다. 이런 풍수의 특징 외에도 전설 속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SSI_20120809015226_L2.jpg 하와이 이민 1세대 가족사에 담긴 한국사  [서울신문] 2012.08.09 (목) 국립중앙도서관은 9일 재야 역사연구가 안형주(76)씨가 한인 미국 이민사 자료 등 2492점을 기증한다고 8일 밝혔다. 기증자 안씨는 독립유공자 안재창씨의 종증손이자 안창호 목사의 손자다. 기증 자료에는 구한말 가난을 피해 미국 하와이 이민길에 오른 경기도 양주 죽산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SSI_20120807173956_L2.jpg 국립중앙박물관 관람객 2000만명 돌파  [서울신문] 2012.08.08 (수) 국립중앙박물관이 2005년 10월 28일 용산으로 이전, 재개관한 이래 6년 9개월여 만인 7일 관람객 2000만명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2000만 번째 관람객은 아이들과 함께 찾은 경기 광명시에 거주하는 엄지연(오른쪽 두번째 39)씨. 엄씨는 달항아리, 제주도 왕복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12345678910 다음 next.gif
 
저작자 표시컨텐츠변경비영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047건 138 페이지
자유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992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79 2012-08-28
1991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563 2012-08-28
열람중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97 2012-08-27
1989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89 2012-08-26
1988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67 2012-08-26
1987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28 2012-08-25
1986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2 2012-08-25
1985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77 2012-08-25
1984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87 2012-08-25
1983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66 2012-08-25
1982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82 2012-08-22
1981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8 2012-08-21
1980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49 2012-08-21
1979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872 2012-08-20
1978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74 2012-08-19
게시물 검색

34919 대전시 중구 대흥로121번길 8 대전고동창회관 2층 | 회장 : 이왕구
전화 : (042) 257-0005 | 팩스 : (042) 257-0518 | 메일 : daego@daego.kr
Copyright 2001~2024 대전고등학교총동창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