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금리]^갈아타기-연금저축,보험-^은퇴자 8大^대책은? > 자유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검색

자유

자유

[변동금리]^갈아타기-연금저축,보험-^은퇴자 8大^대책은?

페이지 정보

작성자 :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0건 조회 3,390회 작성일 2015-03-13 11:48

본문

 
 
 
 
 
 
 
[기자수첩]
 
 
 
 
'고금리 뭇매' 저축은행
 
 
 
"우리도 할 말 있어요"
 
 
 
세계일보|오현승|2015.03.17 17:14
관련종목 시세/토론
저축은행에 대한 비판이 여전히 거세다. 수 년간의 구조조정을 거치는 동안 드러난 대주주비리, 불법 대출, 무리한 투자 등이 이유일 것이다.

업계 구조조정이 어느 정도 마무리된 지금, 저축은행을 비판하는 주된 화두는 '고금리 대출'이다. 대표적인 서민금융기관이 연 30%대의 신용대출을 취급해서야 되겠냐는 질타가 쏟아진다.

업계도 할 말은 있다. 저축은행은 시중은행의 높은 대출문턱을 넘지 못한 이들을 대상으로 한다. 은행, 캐피탈사 등에 비해 낮은 신용등급의 소비자가 찾는 저축은행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건 어찌보면 피할 수 없는 선택이다.

신용등급이 낮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대출을 진행하는 만큼 이들 중 상당 수는 상환 여력이 낮다. 최근엔 일부 대출자들이 채무탕감을 위해 개인회생제도를 악용하는 사례도 있어 더욱 문제시된다. 그렇다보니 신용대출 취급 저축은행으로선 낮은 대출금리를 제공할 수 있는 소비자에게도 부실화하는 대출에 따른 손해를 상쇄하고자 일괄적으로 높은 금리를 책정하고 있다.

오히려 저축은행이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받고 강도높게 추심하는 대부업체로 이동하는 걸 막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지난해 기자는 먼 지인으로부터 은행 대출이 막혀 대부업 대출을 이용하겠다는 얘기를 들었다. 기자는 대부업에 견줘 금리가 낮은 캐피탈사, 저축은행 등을 소개했고 그는 간신히 한 저축은행으로부터 대출을 받았다. 이 지인은 대부업 대비 5%포인트 낮은 금리로 돈을 빌리는 데 성공한 셈이다.

작년 업계에 새로 진입한 대부업 계열 저축은행도 다소간 억울할 수 있다.
금융당국이 연 20%대의 대출상품을 취급하라고 해서 대부분 연 29.9%의 금리만을 취급하는 건 일견 얌체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들은 과거 최고 연 34.9%에서 연 39.0%, 연 44.0%로 취급했던 금리를 연 20%대 후반으로 낮췄다. 연 30~40%대 대출을 받은 이들이 금리인하 혜택을 입은 것 또한 사실이다. 금융당국도 이를 인정한다. 다만 대출자의 신용도에 따라 대출금리를 세분화하려는 노력이 부족한 점은 개선돼야 한다.

실제 저축은행 신용대출 금리가 낮다고 볼 수 없다. 하지만 유독 저축은행에게 '고금리' 금융기관이라는 비난의 화살이 빗발친다. 세련된 선진금융을 표방한다는 광고를 퍼붓는 한 캐피탈사의 신용대출금리도 알고 보면 연 20%대 중반이다. 저축은행과 큰 차이는 없다.

물론 부모의 대출상환능력을 보고 연 20%대의 금리로 대학생에게 돈을 빌려주거나, 신용등급과 월 수입 등의 조건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일괄적으로 높은 금리를 책정하는 저축은행의 행위가 바람직한 건 아니다. 다만 이는 당국의 지도로 개선 작업이 이뤄지고 있어 향후 추이를 지켜볼 일이다.

비난받을 행위를 저지른 저축은행들은 문을 닫았다. 오히려 살아남은 저축은행이 부실 저축은행의 과오에 따른 비난까지 짊어지고 있다. 깐깐한 대출심사를 통해 거액의 여신을 보수적으로 취급하던 저축은행은 업계 구조조정 과정에서 법인 대출 한도가 줄어들면서 주요 거래처를 잃었다. 금융업권 간 칸막이가 사라지는 추세라지만 애써 발굴한 우량 여신을 시중은행 등 타업권에 빼앗긴 것도 많다.
예금보험료 부담도 결국 생존 저축은행의 몫이 됐다. 어렵게 살아남은 저축은행까지 싸잡아 범죄 집단으로 모는 건 지나치게 가혹하다.


오현승 기자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
 
 
 
 
 
 
<b>변동금리</b> <b>대출자</b>, 고정 2.6% '안심대출' 전환이 유리   변동금리 대출자, 고정 2.6% '안심대출' 전환이 유리 중앙일보(조판) 2015년03월16일(월) 오전 1:02 금리 인하에 나서자 대출자들이 고민에 빠졌다. 대출 금액이 많을수록 약간의 금리 차이에도 이자 부담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특히 변동금리대출을 받은 사람은 24일부터 정부 주도로 시중은행... 중앙일보(조판)만 검색 관련기사보기
주택대출 금리 2% 시대 중앙일보(조판) 2015년03월16일(월) 오전 1:05
금리가 2%대가 되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지난 12일 기준금리를 1.75%로 내리며 ‘1%대 기준금리 시대’를 열자 시중은행들도 예금·대출 금리를 잇따라 낮추기 시작했다. 우리은행의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 최...
중앙일보(조판)만 검색 관련기사보기
"뭉칫돈 은행 넣어봐야 쥐꼬리 이자" … 전세 대거 월세 전환 중앙일보(조판) 2015년03월13일(금) 오전 1:20
대출·은퇴자 희비 갈린 '1%대 금리 시대' 1%대 기준금리 시대가 도래하면서 저금리의 명암이 뚜렷해질 전망이다. 대출자들은 부담을 덜겠지만, 이자 받아 생활하는 은퇴자의 주름살은 깊어지게 됐다....
중앙일보(조판)만 검색 관련기사보기
대출 늦춰라 … 주택담보 <b>금리</b> 3.34 → 3.2% 예상
대출 늦춰라 … 주택담보 금리 3.34 → 3.2% 예상 중앙일보(조판) 2015년03월13일(금) 오전 1:18
금리대출 상품도 마찬가지다. 안심전환대출 금리는 연 2.8%(20년 만기 전액 분할상환상품 기준)에서 연 2.5~2.6% 정도까지 낮아질 전망이다. 안심전환대출은 변동금리 대출 이용자들이 중도상환수수료 부담 없이 고...
중앙일보(조판)만 검색 관련기사보기
2억 빌리면 20년 만기 이자 8000만원 감소
2억 빌리면 20년 만기 이자 8000만원 감소 중앙일보(조판) 2015년01월30일(금) 오전 1:21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다. 이렇게 되면 변동금리로 대출을 받은 가계의 금리 부담이 갑자기 높아져 이자를 갚지 못하는 대출자가 무더기로 쏟아질 수 있다. 금리가 오르기 전에 변동금리를 2%대 고정금리로 갈아타...
중앙일보(조판)만 검색 관련기사보기
주택담보대출 <b>금리</b>도 2%대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2%대 중앙일보(조판) 2015년01월19일(월) 오전 12:01
금리상품(3년 후 변동금리 전환)에 금리 2.97~3.97%를 적용한다. 아직 최저 3.0%를 유지하고 있는 신한은행과 국민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조만간 2%대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대출자들의 이자 ...
중앙일보(조판)만 검색 관련기사보기
 
 
 
 
 
***********************************************
 
 
 
 
아래 시의적절한 보도를 해주신
 
서울신문사측 및
 
백민경,신융아 기자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
 
 
 
 
퇴직급여 연금 수령이 ‘일시’보다 30% 절세 [서울신문] 2015.03.12 (목) 은퇴한 다음날 가장 궁금한 것은 무엇일까. 미래에셋은퇴연구소가 은퇴자들이 가장 많이 묻는 질문을 추려 11일 ‘은퇴와 투자 42호’를 펴냈다. 그중 눈길이 가는 여덟 가지를 문답 풀이로 소개한다. Q 퇴직 급여 한꺼번에 받을까, 연금으로 받을까. A 올해 세법이 개정되
 
 
 
 
 
 
 
 
 
1%대 금리시대… “자산관리 트렌드 ELS 등으로 이동 중” [서울신문] 2015.03.13 (금) 사상 처음으로 1%대 금리 시대가 오면서 기존 재테크 방식에도 큰 변화가 올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12일 기준금리를 1.75%로 정한 데 따라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기본금리도 곧 1%대로 떨어질 전망이다. 15.4%의 이자소득세(주민세 포함) 등을 고려하면 초저금리
 
 
 
 
 
[서울신문 보도 그후] 증권사 연금저축 갈아타기 문의 쇄도 [서울신문] 2015.03.12 (목) 연말정산 불똥이 ‘연금저축 갈아타기’로 옮겨 붙고 있다는 서울신문 보도 이후 증권사 등에 갈아타기 방법을 묻는 고객들의 전화가 잇따르고 있다. S증권사 관계자는 11일 “하루 서너 건 수준이던 문의가 50여건으로 늘었다”며 “대부분 (서울신문) 기사를 봤는데 연금저축펀
 
 
 
 
“금감원 이동수 과장입니다” 문자 조심! [서울신문] 2015.03.11 (수) 최근 금융감독원 직원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문자가 잇따라 발견돼 휴대전화 사용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금감원은 “불법 사금융 신고센터에 접수된 신고 건수가 3일 동안 239건에 이른다”며 “금융 사기에 이용할 목적으로 개인정보 등을 수집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경고했
 
 
 
 
연말정산 파동에 뿔났나…연금저축보험 갈아타기 열풍 [서울신문] 2015.03.10 (화) 연말정산 파동의 불똥이 ‘연금저축 갈아타기’로 옮겨 붙고 있다. 보험사의 연금저축보험에 가입했던 고객들이 증권사의 연금저축펀드 등으로 갈아타고 있는 것이다. 바뀐 연말정산 제도로 새삼 자신의 연금저축에 관심을 갖게 된 고객들이 보험이나 신탁의 저조한 수익률 등에 실망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047건 14 페이지
자유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열람중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91 2015-03-13
3851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88 2015-02-07
3850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87 2014-10-29
3849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84 2012-12-01
3848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83 2015-02-24
3847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81 2017-03-06
3846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79 2015-01-24
3845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78 2018-01-12
3844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77 2015-03-08
3843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75 2012-12-15
3842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75 2013-03-03
3841 65 박삼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74 2019-08-12
3840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73 2011-11-19
3839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72 2014-12-25
3838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72 2015-02-16
게시물 검색

34919 대전시 중구 대흥로121번길 8 대전고동창회관 2층 | 회장 : 이왕구
전화 : (042) 257-0005 | 팩스 : (042) 257-0518 | 메일 : daego@daego.kr
Copyright 2001~2024 대전고등학교총동창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