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당중의 명당-바로 이곳-조상의 풍수,자연과학에 감탄?
페이지 정보
작성자 :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0건 조회 1,916회 작성일 2012-01-30 11:28본문
[저자와 차 한 잔]
‘조선왕릉실록’ 펴낸 이규원 씨
“조선왕릉은 장묘예술의 정수…
조상의 풍수·자연과학에 감탄”
서울 은평구에 있는 한 초등학교로 전학을 간 뒤부터 그 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봄소풍 장소는 줄곧 경기 고양시 용두동에 자리 잡은 서오릉이었다. 조선시대 어느 왕의 무덤이라는 것은 알았지만 어린아이에게 중요한 것은 놀이였으니, 친구들과 구릉을 타고 굴러 내려오는 재미가 쏠쏠했던 기억이 있다.
중학교 때는 좀 벗어나나 싶더니 고양시 원당동 서삼릉이요, 고등학교 때는 경기도 파주 공릉이었다. 소풍 장소를 공지할 때마다 “무슨 소풍을 무덤으로 가냐.”는 불평이 터졌다.
▲ 조선왕릉으로 조선역사와 풍수를 되짚어본 ‘조선왕릉실록’의 저자 이규원씨는 “조선왕릉은 장묘문화의 정수를 보여 주는 예술품”이라면서 “우리 조상들이 풀어낸 풍수와 자연과학에 대해 경외심을 느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
|
만약 그때 어느 한순간이라도 이런 책을 접했다면, 소풍에 대한 기억은 확연히 달라졌을 것이다.
“제대로 설명을 해 주는 사람이 없으니까요.
하나의 성(姓)이 27대에 걸쳐 왕을 배출하면서
519년을 이어온 조선의 역사나,
왕실 무덤이 단 한 기도 훼손되지 않은 채 보존된 것은
세계에서 유일한 사례입니다.
하지만 그 가치를 제대로 아는 사람은 많지 않죠.”
조선 임금의 능을 찾고, 그곳에 켜켜이 쌓인 역사를 풀어낸
‘조선왕릉실록’(글로세움 펴냄)의 저자 이규원(63)씨는
기자가 어린시절 기억을 ‘이실직고’하자 명쾌하게 대답했다.
시인이자
종묘제례 전수자인 저자는
지난 2009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남한에 있는 조선왕릉 40기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했다는 소식을 접하면서
이 책을 쓰기 시작했다.
현재 한반도에 있는 조선왕족의 무덤은 모두 119기로,
42기가 능()이고,
13기가 원(園),
나머지 64기는 묘(墓)이다.
그는 이 중 49기를 책에서 다뤘다.
“27대 임금과 정실인 원비, 두 번째 왕비인 계비 등이 중심이지만
조선왕조 역사를 논할 때,
파란만장한 역사를 만든 철종의 생부인 전계대원군이나
흥선대원군의 아버지인 남연군 이구(李球)처럼
거론하지 않을 수 없는 인물까지 포함하면서 49기를 담게 됐습니다.”
책은 태조 이성계의 조선 창건부터 마지막 황태손 이구(李玖)까지 편년체로 훑고 있다.
북한에 있는 제릉(신의고왕후릉)과 후릉(정종과 정안왕후릉)에 대한 이야기는 ‘선원보감’을 참고했다.
한마디로 책은 정사(正史)에 나온 것들만 담았다는 얘기다.
자칫 딱딱할 수 있는 이야기들을 대화체로 풀어내면서 조선왕조의 흐름을 통사적으로 이해하기 충분하다.
저자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일일이 왕릉을 찾아 찍은 사진과 해설을 섞고, 풍수 이야기를 덧댔다.
“묫자리를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집안의 흥망성쇠가 갈리죠. 하물며 519년을 이어온 조선왕조는 오죽했겠습니까.
왕과 고관대작들은 나라를 유지하기 위해 당대 최고의 명당에 선대 왕을 모셨거든요.
봉분의 형태나 능침의 삼단 구성, 무인석과 문인석의 배치, 주변 환경의 조화 등을 알고 왕릉을 보면 장묘예술의 정수에 감탄할 수밖에 없죠.”
어릴 적부터 풍수대가로 알려진 유효동 선생과
전국의 산을 돌아다니면서 풍수를 공부하고,
‘대한민국 명당’(2009년)을 출간했던 저자는
“완벽한 풍수를 가진 왕릉에 가만히 서 있노라면 자연에 대한 경외심까지 느끼게 된다.”고 했다.
“풍수는 양념이고 정사에만 집중해 달라.”고 주문했지만,
역시 천하제일의 명당이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저자는
“우리나라 최대 왕릉군인 동구릉 중에서도
태조 건원릉이 으뜸이고,
세종대왕의 영릉도 명당 중의 명당”이라고 말한다.
“조선 500년의 시작을 알린 건원릉과 조선 운세를 100년 연장시켰다는 영릉은 인위적으로는 배치할 수 없고,
3대를 적선해도 차지하기 힘든 천혜의 명당”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런 왕릉 주변에 건물들이 어지럽게 들어서고 위락시설이 조성된 것을 보면 탄식할 수밖에 없다고 한다.
“이제 조선왕릉은 우리의 문화유산이자 세계의 유산입니다. 이미 만들어진 환경이야 어쩔 수 없겠지만
앞으로라도 보존에 소홀함이 없도록 해야 할 겁니다.”
2012-1-28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