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회 심재필 변호사의 자랑스런 동생(大高 同門) 특별 인터뷰는? > 자유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검색

자유

자유

53회 심재필 변호사의 자랑스런 동생(大高 同門) 특별 인터뷰는?

페이지 정보

작성자 :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0건 조회 1,375회 작성일 2012-01-15 19:56

본문

 
 
다음은 저 한준구가-대전고 53회 동기회 홈피에 최근-올린 글입니다.
 
 
정말 자랑스런 대전고 동문 심재설 후배에 대해
 
한 번 읽어 보시고
 
좋은 사이트에-각 기별 사이트에 -
 
폄글로 가능하면?
 
옮겨 주시길 바랍니다
 
-특히 각 기수별 총부님들은 말입니다.
 
 
************
 
 
 

***심재필 동기는 눈에 보이지 않게

우리 동기생 및 우리 동창회 발전을 위해

물심양면으로 도움을 과거에 많이 해왔는 데

 

요즘은 어떠한 지 잘아는 동기생은?-한마디 부탁합니다. 잘 몰라서?

 

***다름이 아니고,  몇 년 전 저 한준구가 심재필의 동생 심재설

 

대전고 후배의

 

국가와 민족을 위한 업적을 일부 공개한

 

바 있는 데

 

 

***2주일전인 2011년 12월 30일  서울신문에 심재필 친 동생이자

 

대전고교의

자랑스런 후배인 심재설 동문에 대한 인터뷰와 업적 소개가

한 페이지를 모두

장식할 정도로 크게 보도된 바 있는 데

 

***심재필 동기는 아는 지 모르는 지?

 

***필시, 재필이는 알 터인 데 이런 자랑스런 집안 식구의 업적을

 

술자리에서 라도 동기들에게 언급했더라면

 

그의 친한 동기생중 한 명이

 

우리 홈피에 올렸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 바

 

***뒤 늦게 발견한 저 한준구가  다소 15일 안팎 뒤늦었지만 시일을 요하는 급한

 

내용도 아니므로  다소의 만시지탄의 감은 있으나 무척 유효하고

 

***요즘은 알디시피, 피알시대이므로 피할 것은 피하고 알릴 것은 알려도 좋은 시대 임에도 불구하고

 

국가와 민족의 100년 대계를 설계하는 위대한 학자인 동생

 

심재설을 소개 안 한 것은?

 

미필적 고의 에 의한

 

 

직무 유기 내지는 직무 태만인 듯

 

하여 심재필을 나쁜 兄이라고 제목에 달아 보았습니다.

 

말 잘하는 변호사 심재필 어디 할 말 있으면 한 마디 올려 보게나?

 

 

*****

 

김문이 만난사람] ‘이어도 박사’ 한국해양연구원 심재설 박사

이어도 이어 독도… 그를 뺀 해양기지 설계를 말할 수 없다

 

 
SSI_20111229163748_V.jpg ▲ 지난 19일 경기 안산시에 위치한 한국해양연구원에서 만난 심재설 박사가 이어도해양과학기지 상황판 앞에서 우리나라 해양과학기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
10_vc_line3.gif

바다는 생명이다. 섬 사람에게는 운명이다. 그래서 섬에는 생명과 운명이 공존한다. ‘긴긴 세월 동안 섬은 늘 거기 있어 왔다. 그러나 섬을 본 사람은 아무도 없다. 섬을 본 사람은 섬으로 가버렸기 때문이다. 아무도 다시 섬을 떠나 돌아온 사람은 없었기 때문이다.’
 
이청준의 소설 ‘이어도’에 나오는 대목이다. 아버지는 뱃사람으로 늘 바다에서 보냈고 어머니는 실종된 아버지가 나타날 때까지 이어도 노래를 부르다 죽는다. 이 소설은 이어도의 전설을 소개하고 정체를 밝히는 것이 아니라 거꾸로 그 섬이 어떻게 우리의 삶을 간섭해 왔고 모습지어 왔는지를 그렸다.
 
‘이어도’는 김기영 감독에 의해 1977년 영화로도 만들어져 주목을 받았고, 최근에는 오멸 감독이 ‘이어도’를 흑백영화로 만들어 서울독립영화제 본선에 올려 눈길을 끌었다. 또 사단법인 이어도연구회(이사장 고충석)에서 올해 처음 영문판 ‘이어도 저널’을 발간, 세계에 알리고 있다.
 
 
ssi_20111229163748_v.jpg ▲ 지난 19일 경기 안산시에 위치한 한국해양연구원에서 만난 심재설 박사가 이어도해양과학기지 상황판 앞에서 우리나라 해양과학기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
그렇다면 이어도 노래에는 어떤 내용이 담겨 있을까.
 
 
 
 
 
 
 
 ‘이엿사나 이여도사나 이엿사나 이여도사나(노 저을 때 내는 여음)/
우리 배는 잘도 간다 솔솔 가는 건 솔남(소나무)의 배여/
잘잘 가는 건 잡남(잣나무)의 배여 어서 가자 어서 어서/
목적지에 들여 나가자(들어가자) 우리 인생 한번 죽어지면/
다시 전생(환생) 못하나니라 원(관원)의 아들 원자랑 마라/
신의 아들 신자랑 마라 한 베개에 한잠을 자난(혼자 잠자는)/
원도 신도 저은(두려울) 데 없다 원수님은 외나무 다리….’
 
***주로 바다와 힘겹게 살아가는 어부와 해녀들이 불렀다.
지금도 생생하게 전해지는 구전 민요이자 한많은 노동요인 셈이다.
반어법과 문답법을 적절하게 구사하면서 임(바다로 나간 남편, 아버지)과 이별 없는 이상향을 그리워하는 피안의 내용을 담고 있다.
위험한 뱃길을 이어도 노래로 위안받으며 두려움 없이 바다로 나가고 또 나가곤 했다.
 
 
지금도 40대 이상의 제주도민들은 이 노래를 대부분 부를 줄 안다.
이어도는 살아서는 못 가는 섬, 그러나 한번 가면 못 돌아오는 환상과 애증이 사무친 곳이다. 이어도는 육지섬이 아니다.
평균 수심은 50m,
 
남북 길이 1800m,
 
동서 길이 1400m인 수중섬(水中島)이다.
 
 
평소 정상봉은 해수면 아래 4.6m에 있다.
 
 
섬 정상은 파도가 심한 날이면 수면 밖으로 잠시 모습을 드러내는 경우가 있다. 때문에 ‘환상의 섬’이라고 한다.
 
 
SSI_20111229163817_V.jpg ▲ 마라도 149㎞ 남쪽 이어도에 설치된 해양과학기지.
 
 
 
ssi_20111229163817_v.jpg ▲ 마라도 149㎞ 남쪽 이어도에 설치된 해양과학기지.
요즘 중국이 이러한 이어도에 대해 욕심을 심상치 않게 드러내고 있다. 지난 14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3000t급 순찰함을 동중국해에 투입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한국의 이어도와 가거초(可居礁) 부근 해역에서 순찰활동을 강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명으로 이어도는 쑤옌차오(蘇岩礁). 일본과 영유권 분쟁을 벌여 온 중국 정부는 그동안 이어도와 가거초 부근 해역이 중국의 200해리 배타적 경제수역(eez)에 포함되는 곳이라는 논리를 펴 왔다. 한국 정부는 독도처럼 이어도를 실효 지배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이 3000t급 순찰함을 이어도 부근에 보낼 경우 우리의 해양경찰과 충돌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2003년 이어도에 해양과학기지를 건설할 때에도 중국 정부는 불만을 표시하며 반발했다.
 
마라도에서 약 149㎞ 떨어진 이어도 부근 해양에는 석유와 천연가스 등 지하자원이 매장돼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특히 한국의 수출입선이 지나가는 해상의 요충지로 평가받고 있다.
 
 
 
지난 2011년 12월19일 경기 안산시에 위치한
 
 
한국해양연구원에서 심재설 박사를 만났다.
 
 
 
그는 이어도에 해양과학기지를 설계했을 뿐만 아니라
30여 차례나 이어도에 다녀와 이른바 ‘이어도 박사’로 통한다.
 
 
특히 그는 가거초 해양과학기지와 황해 중부(군산 앞바다에서 200㎞ 떨어진 곳)에 관측용 부표를 설계·설치한 데 이어
 
요즘에는 독도 해양과학기지 제작에 몰두하고 있다.
 
독도기지가 끝나면 곧바로 백령도 기지 설계에 들어갈 예정이다. 하여 해양과학기지에 관한 한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이러한 심 박사에게 먼저 독도 해양기지는?
 
 
어느 정도 진척이 됐는지부터 물었다. 그러자 민감한 사안이라 자세히 말할 수는 없다면서
 
30% 정도라고만 짤막하게 대답했다.
 
 
 
위치에 대해 다시 묻자 독도 인근의 1㎞ 해역이라는 대답이 돌아온다. 얘기를 이어도로 옮겼다.
 
 
“육지에서 300여㎞ 떨어진 해양과학기지를 갖고 있는 나라는 태풍권(허리케인 등 포함)에서 우리가 유일합니다. 그만큼 먼 바다에서부터 태풍을 연구하는 데 상당한 도움이 됩니다.
 
 
위성 데이터를 검·교정할 만큼 아주 정확하며 생물 다양성 연구에도 아주 중요하지요. 이어도 기지 설치 이후 그동안 수심별로 여러 생물을 채집해 항암성분 등을 추출한 신물질만 300여종이나 됩니다.”
 
 
이 밖에 지구환경 변화에 대한 여러 핵심자료를 제공하고 황사 등 대기오염 물질의 이동 및 분포도 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안전항해를 위한 등대 및 수색 전진기지로도 활용되고 있음은 물론이다.
 
 
기지 구조물 수명이 50년이라는 그는 “30여개의 관측장비 대부분이 무인자동화 시스템이지만 설계할 때 8명이 15일 정도 살 수 있도록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지금은 국립해양조사원 요원들이 한 달에 한 번꼴로 들어가 4박 5일 정도 지내고 있다면서 “이어도 기지는 2003년에 설치한 뒤 2007년부터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활용연구는 계속 해양연구원에서 하고 있단다.
 
중국이 요즘 들어서 왜 이어도에 부쩍 관심을
드러내는지에 대해 물었다.
“2000년까지는 별로 관심이 없다가 최근 경제력이 높아지면서 그 속내를 보이고 있습니다. 사실 이어도 기지를 세울 때 전격적으로 설치한 뒤 나중에 대대적으로 홍보하는 작전을 세웠습니다.
 
 
그때 중국에서 외교채널로 (중국정부와) 상의할 것이지 왜 그랬느냐는 항의를 두 번 정도 했습니다. 만약 지금이라면 독도 문제처럼 크게 불거졌을 겁니다.
 
 
중국은 서해상에 우리 같은 해상 관측기지가 없습니다. 이어도 주변에는 해상자원과 어족이 풍부합니다. 제가 기지에 머물 때 봄가을에는 중국 어선들로 불야성을 이루는 것을 자주 목격했지요.”
이어도는 중국령 퉁다오(童島)에서 245㎞, 일본 나가사키현(長崎縣) 도리시마(鳥島)에서 276㎞ 거리에 위치해 있는 해상 생태계의 세계적 보고로 알려져 있으며 연평균 25만여 척의 배가 이곳을 지난다.
 
그는 이어도를 여전히 막내아들처럼 여긴다. 1991년부터 이어도 기지건설 사업에 참여하면서 오랫동안 정이 흠뻑 들었기 때문이다. 아슬아슬했던 순간도 여러 차례 겪었다.
 
 
이어도에 기지를 설치할 때 바지선과 연결한 줄이 끊어져 바지선이 상하이 앞바다에까지 떠밀려 가 애를 태웠던 일,
 
2003년 태풍 매미가 불어닥칠 때 배터리가 작동이 안 돼 마음 졸였던 일 등이 대표적이다.
 
 
“먼 바다에 해양구조물을 설치한 것은 이어도 기지가 우리나라 최초입니다. 쇠말뚝을 박는 일에만 1년 더 걸릴 정도로 어렵게 설치했지요.
 
 
수중과 수상의 쇠말뚝을 같이 끼워야 하기 때문에 파도가 조금만 있어도 애를 먹게 됩니다. 나중에 설치가 되고 나서,
아마 전설의 섬에 있는 용왕님이 화가 나서 그러는구나 하는 후일담을 나누기도 했지요(웃음).
 
 
설치 3개월 후에 태풍 매미가 불어왔는데 이어도 기지는 정확한 예측으로 피해 규모를 많이 줄일 수 있어서 그 진가를 유감없이 발휘했습니다. 기지에 설치된 구조물들이 지금까지 99% 정확하게 작동되고 있지요.”
 
 
중국 어선들이 많이 지나가는 곳이어서 크고 작은 분실사건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느냐고 했더니 “그런 것을 미리 염두에 두고 아무나 올라갈 수 없도록 자동 사다리 시스템으로 작동되고 있다.”고 대답했다.
 
 
지금 설계 중인 독도 해양과학기지는 이어도의 두 배 정도의 규모라고 귀띔한 그는 2016년 백령도 기지 설치를 끝으로 마지막 꿈인 연안침식 연구에 몰두할 예정이다. 연안 침식은 전 세계적으로 현안문제라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의미심장한 말을 한다.
 
 
 
해양으로 진출하는 국가는 흥하고
 
 
육지로 가는 나라는 쇠(衰)합니다.
 
 
바다에 대해 투자를 게을리하면 결코
 
 
안 됩니다.”
 
 
서울신문-김문-편집위원 km@seoul.co.kr
 
 
 
 
심재설은?
 
 
1958년 충남 당진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부터 바다를 좋아해 해양학자의 꿈을 키웠다.
 
 
 
대전고와 연세대 토목공학과나온 뒤
 
 
1985년 해양연구원에 들어갔다.
 
박사과정은 중앙대에서 ‘항만 및 해안’을 전공했다.
이후 해양연구원에서 연구조교, 연구원, 선임연구원 등을 거쳐 현재 책임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1991년부터 ‘이어도 사업’에 본격적으로 참여했으며
2003년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건설 유공으로 철탑산업훈장을 받았다.
 
2003년부터 2009년까지 가거초 해양과학기지 총괄연구책임자를 맡았으며
 
2009년부터 현재까지 독도 해양과학기지 구축을 위한 설계 및 시공사업을 총괄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쓰나미로부터 살아남기 위해’(2009, 역서)와
‘독도해양과학총서’(2011, 공저) 등이 있다.
이 밖에 ‘연직 원형파일에 작용하는 쇄파파력의 수치해석’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슬하에 1남 1녀를 두었다.
 
*****
 
 
원문을 보시려면?
 
***네이버--서울신문-김문(기자 이름)
 
--검색하시면?
 
 
첫 페이지에 없는 데  바로 아래 옆에 뉴스 더 보기를 누르면
한참 아래 
김문이 만난 사람-이어도 이어 독도 그를 뺀 해양기지 설계를 말할 수 없다 를
 
보시면?
 
원문과 화보와 자랑스런 애국자 심재설(재필이 친동생)의 우국충정의 모습을 화보로
 
선명하게 볼 수 있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
 
심재필 집안의 영광 ****심재설 포에버!
 
 
 
****
 
심재필이 고교 3학년 시절 도서관에서 밤샘 공부를 할 적에
 
이른 아침에 도시락을 도서관 현관에서 형 재필에게 갖다주던 모습이
 
저 한준구는 아주 생생하게 기억납니다.  바로 엊그제 일처럼 말입니다.
저의 뇌리 속에 생생하게 각인되었는 데  그 당시의
형의 기세에 눌리던 다소곳한 얌전한 모습의 심재설이 확실히 기억납니다.
 
 
 
***심재필-심재설 형제 포에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047건 164 페이지
자유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열람중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76 2012-01-15
1601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89 2012-01-15
1600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69 2012-01-14
1599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728 2012-01-14
1598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18 2012-01-13
1597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64 2012-01-13
1596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99 2012-01-13
1595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96 2012-01-13
1594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481 2012-01-13
1593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827 2012-01-12
1592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823 2012-01-12
1591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10 2012-01-11
1590 54 김용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24 2012-01-11
1589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22 2012-01-11
1588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8 2012-01-10
게시물 검색

34919 대전시 중구 대흥로121번길 8 대전고동창회관 2층 | 회장 : 이왕구
전화 : (042) 257-0005 | 팩스 : (042) 257-0518 | 메일 : daego@daego.kr
Copyright 2001~2024 대전고등학교총동창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