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시각: 만주족 vs. 漢族: 고려大 김선민 연구원 발표!
페이지 정보
작성자 :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0건 조회 1,511회 작성일 2012-01-05 10:40본문
漢族의 탁월한 문명이
블랙홀처럼 이민족을 빨아들였다…
新淸史…漢化에 반기(反旗)를 들다
중국 동북공정이 화제였다.
우리 역사를 통째로 삼키려 든다는 분노가 대단했다.
근거는 한화(漢化)다. 즉 한족화 말이다.
중국의 옛 역사를 돌이켜보니 한(漢)족의 탁월한 문명이 블랙홀처럼 다른 이민족들을 빨아들였다는 것이다.
심지어 한족을 정복해 군림한 왕조들마저 漢化를 피하지 못하고 그 속에 녹아들었으니 한족의 문화적 저력이 엄청나다는 얘기다.
그런데 이 틀을 부정하는 주장들이 나오고 있다.
美國 학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신청사(新淸史)다.
논문이나 저서가 산발적으로 나오다
2004년부터 본격적으로
新淸史라는 이름 아래 묶이게 된 흐름이다.
이를 개괄해 볼 수 있는 김선민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HK교수의 논문
‘신청사의 등장과 분기
-미국의 청대사 연구동향’이
계간지 ‘내일을 여는 역사’ 겨울 호에 실렸다.
김 교수가 신청사에서 흥미롭게 보는 대목은?
중국사를 한화의 역사로 보는 시각 자체가
“20세기 초 중국 민족주의 역사학의 산물”이라 지적하는 부분이다.
한국의 탈민족주의자들이
단군 이래 반만년 단일민족 신화’를 비판하면서
항일운동 시기에 한국의 민족주의가 지나치게 신화화됐다고
주장하듯
중국의 ‘한화’ 개념도 마찬가지라는 얘기다.
신청사는 최근 국내에도 본격적으로 번역, 소개되고 있다.
연초에 나온
이블린 로스키의
‘최후의 황제들-청 황실의 사회사’,
마크 엘리엇의 ‘건륭제’
같은 책들이 대표적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漢化에 대한 부정이다.
한자 자료뿐 아니라
만주어, 몽골어, 티베트어 문헌 분석을 통해
만주족이 자신들의 정체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그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남달리 노력했다는 점을 강조한다.
사례는 많다.
가령 러시아와의 국경 협상에 대해
청나라는 한문 자료를 남기지 않았다.
북방 문제는 남쪽에 사는 한족이 관여할 문제가 아니라
여긴 탓이다.
또 박지원의 열하일기에서 볼 수 있듯
여름이면 청 황제는 열하로 갔다. 문제는 왜 그랬을까다.
한화의 시각에서
황제의 여름철 열하 체류는 북방 이민족에 대한 견제구로 읽히지만
신청사의 시각에서는?
만주의 전통과 자존심을 잊지 않겠다는
황제의 선언으로 읽힌다.
한걸음 더 나아가
김 교수가 눈여겨보는 대목은?
팔기(八旗)에 대한 해석이다.
팔기는 청나라만의 독특한 군사·행정조직이다.
팔기에 속한 이들은 기인(旗人)이라 불렸는데,
처음엔 만주족으로 구성됐으나
청나라 팽창과 더불어
몽골·조선·여진·한족 등 다양한 민족이 발탁됐다.
그럼에도 팔기는 곧 만주족으로 간주됐다.
김 교수는
“정치, 세금, 예산 등과 관련 있던 기인이
단일민족 집단처럼 여겨진 것은?
19세기 후반 반청혁명 운동의 흐름에서 나타난 근대적 현상”으로
“한족 중심 공화혁명 과정에서 중국을 지켜내지 못한 무능한 집단으로
만주족을 묘사”하기 위해
‘기인=만주족’이란 선입관이 만들어졌다고 말했다.
이렇게 되면
淸나라는?
한화된 국가가 아니었을뿐더러
그렇다고 오로지 만주족만의 국가였다고 말하기도 어려워진다.
이 점은 청 황제가
‘유학자’이자
‘문수보살’이자
‘대칸’임을 자임한 데서 잘 드러난다.
한족을 상대할 때는 유학자임을,
티베트를 상대할 때는 문수보살임을,
몽골 등 유목민족을 상대할 때는 대칸임을 내세웠다는 것이다.
제국을 총괄하는 보편 황제의 지위였던 셈이다.
보편이란 언제나 그렇듯 텅 빈 기호다.
중국의 동북공정은 생각해봐야 할 화두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