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正祖大王-조금더 오래 사셨더라면? > 자유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검색

자유

자유

@ 조선-正祖大王-조금더 오래 사셨더라면?

페이지 정보

작성자 :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0건 조회 3,864회 작성일 2011-11-26 21:37

본문

 
 
 
 
 

 

 

@제목: 국왕 正祖, 어느 쪽이 진심이었습니까?”…

 

‘정조 치세어록’ 펴낸 안대회 성균관대 한문학과 교수

  • 2011.11.25

인물 정보

프로필 수정요청 내 참여내역
안대회 교수
출생
1961년 (충청남도 청양)
소속
성균관대학교 (부교수)
학력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학 박사
경력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부교수
명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영남대학교 한문교육과 교수
관련정보
네이버[카페] - 우리시대의 명강의 '궁극의 시학'

 

 

111125_13_1.jpg


안대회(50) 성균관대 한문학과 교수는 조선왕조 500년을 통틀어 가장 흥미로운 임금으로 주저 없이 22대 왕 정조(1752∼1800)를 꼽았다.
 
 
개인사 드라마와 인간적 매력을 따지면 최고 군주는 역시 정조”라고 했다. 최근 ‘정조 치세어록’(푸르메)을 낸 안 교수를 23일 만났다. 책은 ‘조선왕조실록’ ‘일성록’ ‘홍재전서’ ‘정조어찰첩’ 등 정조의 말과 글을 담은 수십 종의 사료를 선별해 ‘공부’ ‘인재등용’ 등으로 나눠 정조어록을 정리했다.

-소설로, 영화로, 연구서로 사람들이 끊임없이 정조를 말하는 이유는.

“업적도 대단하지만, 실패한 개혁군주의 이미지가 정조를 더 매력적으로 만든 것 같다. 48세 나이에 원하는 개혁을 완수하지 못한 채 예상보다 일찍 죽었고, 그 뒤 조선은 급격히 몰락하지 않았나.
 
일제 식민지, 6·25전쟁 등 힘든 역사가 이어졌으니 ‘정조가 10∼20년 더 살아 개혁을 했다면 달라졌을까’ 하는 기대가 투영된 측면이 있다.
 
할아버지(영조)가 아버지(사도세자)를 죽인 비극적 개인사를 딛고 왕이 됐다는 개인 스토리도 있고.”

-연구자 안대회를 매료시킨 매력이라면.

“정조에게는 정치인으로서의 금도(襟度)가 보인다. 정조도 반역자를 사형시키고 반대파를 귀양 보냈다. 하지만 정치적 보복조차 지극히 합리적이었다. 힘이 없어서 그런 게 아니다.
 
‘정치인’ 정조는 잔인하지도, 폭압적이지도, 그렇다고 유약하지도 않았다. 힘을 쓰되 도를 넘지 않는 통제력을 갖고 있었다. 성격도 흥미롭다. 급한데다 다혈질이었다. 화도 잘 내고, 다변에 달변이었다. 반면 반성도 빠르고, 잘못 했다고 느끼면 바로 바로잡았다. 한마디로 뒤끝이 없었다.”

-2009년 정적 심환지와 주고받은
비밀어찰(御札·왕의 편지) 6첩, 297통이 발견되면서 노회한 정치인 정조의 모습에 실망했다는 목소리가 많았다.

“반대파와의 비밀 대화를 정치적 협잡으로 보는 사람도 있지만, 나는 커뮤니케이션 노력이라고 평가한다. 정조에게 어찰은 일종의 소셜미디어 같은 거였다. 지금으로 치면 대통령이 실시간으로 여야 정치인과 대화를 나누는 것과 같다. 국가 주요 이슈에 대해 정조는 서찰을 통해 신하들과 끊임없이 의견을 주고받았다.”

-백성과의 대화는 어떤 방식으로 했나.

“왕의 궁궐 밖 행차는 수천 명의
경비부대가 동원되는, 비용이 엄청난 행사다. 정조는 안전을 걱정하는 신하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한양 시내를 자주 오갔다.
 
‘백성들에게 내 얼굴을 보여줘야 한다’는 게 정조의 생각이었다. 요즘 식으로 말하자면, 국민과의 대화 같은 거다. 기근에 서북지방 유민이 한양으로 모여들었다는 소식을 듣고는 한성판윤에게 종로에 유민을 모으라고 명령한 적도 있다. 유민 앞에 직접 나가 ‘다 내 잘못이다’고 말했다.
 
국왕이 유민에게 ‘잘못했다’고 말하다니 정말 상상 못할 행동이었다. 폭도가 될 뻔한 유민의 마음을 국왕의 말 한마디가 다독인 거다. 시전 상인들과도 대화했고, 갈수 없는 먼 곳에는 포고령을 내려 보냈다. 특이한 건 대부분 한글 번역본을 함께 보냈다는 거다.
 
 
한문, 언문 이렇게 두 개. 자기 말을 많은 백성에게 전하도록 노력했다는 건데, 어찌 보면 상당히 근대적인 제스처다. 자신감이기도 하고.”

-‘정조 치세어록’에 나타나는 정조의 언어는 어떻게 평가하나.

“정조는 정치적 수사에 능했고, 언어감각도 놀라웠다. ‘백성이 배고프면 나도 배고프고 백성이 배부르면 나도 배부르다’라고 한다든지, 도둑을 처벌해야 한다는 말에 ‘도둑도 내 백성’이라거나, ‘나를 반대하는 신하도 내 신하’라고 말하는 대목은 놀랍다.
 
개인 선박 때문에 세곡 운영에 차질이 빚어져 조운선(국가 소유의 배)을 운영하자는 목소리가 나온 적이 있었다. 정조는 ‘국가에 이득이 되더라도 백성의 생계를 빼앗으면 안 된다’며 반대했다.
 
사학(邪學)을 막을 법을 만들자는 목소리에 ‘불순한 학문이라도 법으로 막지 못한다’고 답했고, 소설을 읽으라는 말에는 ‘서류가 소설보다 재밌다’고 되받아쳤다. 정적에게는 ‘네 주장을 무디게 만들지 마라. 각을 세워 부딪치라’고 주문했다.
 
문제를 감추지 말고 부딪쳐 해결하라는 말이다. 표어나 속담 같은 것도 자주 썼다. 왕의 언변에 신하들이 넘어갔던 것 같다(웃음).”

-그게 통치력으로 이어진 건가.

“18세기 이미 조선이라는 나라의 모순은 곪을 대로 곪은 상태였다. 정치적 알력, 종교적 갈등, 지역갈등 다 심했다. 민란도 있었다. 하지만 정조는 정치력을 발휘해 갈등을 다독였고, 문제가 불거지면 희생을 최소화시키는 선에서 통합을 이뤄냈다. 이런 타협과 조정의 태도는 지금 정치가
모델로 삼을만하다.”

-개혁군주라는 정조의 이미지는 실체가 있는 건가.

“소외계층에 대한 배려가 남달랐다. 중인이나 서얼, 평민에 애정을 표했을 뿐 아니라 지역적으로 소외받은 이들도 배려했다.
 
함경도, 제주도 같은 소외지역에서 과거를 치른 것이 증거다. 제주도민이 고생한다는 얘기에 전복 진상을 금지시키기도 했다. 조선 후기에 노론 이외의 당파를 적극적으로 등용한 유일한 왕. 그럴 힘과 의지가 있었던 임금이 정조였다.”

-20여년 정조 시대를 연구해온 학자로서, 정조에게 한 가지를 묻는다면.

“정조는 평생 주자학을 공부했고, 주자학을 조선 사회의 근간으로 삼고자 했다. 겉으로 드러난 모습은 그렇다. 하지만 그게 진심이었는지는 의심스럽다.
 
혹시 보수 세력을 다독이기 위해 주자학을 명분으로 내세운 건 아닌지. 정조는 주자학에 입각해 고문(古文)을 옹호하고 소품체를 비판하면서 문체반정을 시도했다.
 
하지만 소품체를 쓴 학자들에 대한 처벌은 대단하지 않았다. 박지원 이덕무 이가환 박제가 같은 학자들을 보라. 나중에 다 중용됐다. 상호모순된 행동도 했다. 최근 공개된 편지를 보면 정조가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궁으로 보내라’고 한 대목이 나온다. ‘열하일기’의 문체를 문제 삼아 연암에게 반성문을 쓰라고 했던 게 정조였다. 근데 ‘열하일기’를 읽고 싶으니 보내달라고 했다. 반성문을 쓰라고 한 정조, 책을 보내달라는 정조. 어느 쪽이 진심인지 궁금하다.”

2011년 11월26일 국민일보-이영미 기자 ymlee@kmib.co.kr
 
 
************
 
 

*************

 

 

정조 치세어록…안대회 지음

 | 푸르메 | 272쪽 | 1만3800원

다변(多辯)의 군주였던 정조는 글도 많이 썼다.

신하들을 시험하는 책문(策問)과 행정을 지시하는 교서 등의 공문서는 물론이거니와, 백성에게 자신의 생각을 알리고 설득하기 위해 한글로 된 윤음(綸音)을 반포했으며 신하들과 사적으로 숱한 편지를 주고받기도 했다.

 

물론 정조는 그 대부분을 직접 썼다.

저자 안대회(50·성균관대 한문학과 교수)에 따르자면,

正祖는 한국의 역대 통치자 가운데 가장

글을 많이 쓴 사람”이다.

 

“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다.

20111126.01200111000002.01s.jpg

著者는?

 

 “정조에게 말과 글은 통치의 수단이었다”는 점에 주목한다.

즉 정조는 “말과 글이라는 도구를 적극 활용해 자신의 통치이념과 마음을 백성과 신하들에게 분명하게 알렸던 ‘말의 정치가’였다”는 것이다.

 

책에 수록한 어록은?

그런 관점에서 선별됐다.

정조가 남긴 방대한 저작 속에서 “통치철학과 사상을 선명하게 드러내는 것들”을 발췌했다는 얘기다.

정조의 대표적 문집인 <홍재전서>를 비롯해 편년체 사서인 <실록>과 <일성록> <승정원일기> <비변사등록>, 최근에 발견돼 화제를 모은 <정조어찰집> 등을 두루 더듬어 72개의 글을 골랐다.

아울러 그 하나하나를 저자가 해제했다.

차별받던 서얼들에게 관직의 길을 터주기 위해 내렸던 교서 등은 정조가 개혁군주였음을 증명하는 근거로 종종 거론된다.

물론 자신의 왕권을 강화하려는 속내가 숨어있음을 간과할 수는 없다. 그러니 이 또한 ‘말과 글의 정치’다.

예컨대 정조는 “흠결이 있는 큰 인물과 큰 장점이 있는 작은 인물까지 다 거두고 끌어안아, 포용하고 양성하는 나의 무리 속으로 들어가도록 해야 한다”며 세상에 버릴 인재가 없음을 강조한다.

하지만 이어지는 말은 칼을 품었다.

“가르쳐도 따르지 않고 이끌어도 따르지 않는다면 죄를 묻고 물리쳐 섬으로 변방으로 귀양을 보낸다. 이들이 개과천선하면 다시 기용하고 그렇지 못하면 그만이다.

…나라를 어지럽히고 해치는 신하는 만물을 살리는 천지와 같은 어진 임금이라도 용서할 수 없다. 죽이고 없애도 아까울 것이 없다.”

책 속의 정조는 이 밖에도 신하들에게 항상 공부할 것을 권면하고 공정사회를 향한 자신의 정치철학을 펼쳐놓는다.

임금의 정도(正道)를 고민하고 백성의 삶을 염려하는 위민(爲民)의 심정을 털어놓기도 한다.

물론 눈 밝은 독자라면 글의 행간에서 정조의 이중성을 엿볼 수도 있다. 강단있는 추진력의 이면에 불안과 두려움이 깔려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는 얘기다.

그래서 아이러니하게도, ‘정조의 치세’를 주제로 내세운 이 책에서 가장 흥미를 끄는 부분은 말미에 수록한 ‘인간 정조를 엿보다’라는 장이다.

정조는 외삼촌 홍낙임에게 보낸 편지에서 “대궐을 벗어나고 싶다”고 토로한다. 왕위에 올라 아버지의 묘소를 정비하면서 “너무 슬프면 말이 길지 않고, 지나치게 애절하면 감정이 오히려 무뎌진다”며 애통해한다.

2009년 12월부터 올해 2011년5월까지,

경향신문에 연재했던 원고를 보완하고 다듬어 펴낸 책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047건 171 페이지
자유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497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2 2011-12-02
1496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80 2011-12-02
1495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68 2011-12-01
1494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24 2011-11-30
1493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68 2011-11-30
1492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96 2011-11-29
1491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84 2011-11-28
1490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65 2011-11-28
1489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3 2011-11-28
1488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91 2011-11-28
1487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78 2011-11-28
1486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412 2011-11-28
열람중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865 2011-11-26
1484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71 2011-11-26
1483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68 2011-11-26
게시물 검색

34919 대전시 중구 대흥로121번길 8 대전고동창회관 2층 | 회장 : 이왕구
전화 : (042) 257-0005 | 팩스 : (042) 257-0518 | 메일 : daego@daego.kr
Copyright 2001~2024 대전고등학교총동창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