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번 3번-故 유재흥 장군--친일 논란 및 한국전 敗戰논란은? > 자유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검색

자유

자유

*군번 3번-故 유재흥 장군--친일 논란 및 한국전 敗戰논란은?

페이지 정보

작성자 :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0건 조회 1,608회 작성일 2011-11-30 03:43

본문

 
 
 
 
 
어느 ‘일본군 출신 장교’를 위한
 
한국군 합참장?
 
등록 : 20111128 20:31 | 수정 : 20111129 13:23
 
유재흥 예비역 중장 ‘군 장례식’ 논란
 
 

1322479848_00337692801_20111129.JPG
» 1950년 9·28 서울수복에 이어 10월 평양에 가장 먼저 입성한 유재흥 장군(앉은 이)이 육군 2군단장 시절 참모들과 찍은 사진. 그는 51년 7월 시작된 정전회담 때 남한 쪽 옵서버로 참관했으나, 일본 육사 출신인 탓에 우리말을 알아듣지 못해 통역을 대동했다. <한겨레> 자료사진
부친과 함께 일본 육사 출신 ‘친일사전’ 등재도 나란히 해방 뒤엔 4·3 ‘토벌’ 지휘
6·25땐 패전뒤 군단 해체되고 전작권 환수 반대 나서기도 29일 대전 현충원 안장 예정
 
 

인물 정보

프로필 수정요청 내 참여내역
유재흥 전 육군, 전 공무원
출생-사망
1921년 (충청남도 공주) - 2011년 11월 26일
학력
육군참모대학
경력
1997 한국참전단체총연합회 회장
1983 스칸디나비아 재단 이사장
1980.09 제4대 한국석유화학공업협회 회장
1978.09 제3대 한국석유화학공업협회 회장
관련정보
역대 국방부장관
 
현리전투의 패장 유재흥 장군 타계
  • 쪽지보내기
  • 자기소개
  • 등급확인
  • 가입일
  • 게시물보기
해봐서안다0.gif
  글번호 381875 | 2011-11-28 14:58:23 IP 220.72.***.90 조회수 847 추천수 0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2120071


1921년 충남 공주에서 일본군 장교 유승렬(일본육사 26기)의 아들로 출생
1944년 일본육사 56기 졸업
1946년 군사영어학교 졸업
1948년 조선국방경비대 연대장
1949년 제주 4.3항쟁 토벌군사령관
1950년 6월 제7사단장, 동두천-의정부 전투에서 패배
1950년 9월 제2군단장으로 영천전투 승리
1950년 12월 중국군 대공세를 만나 휘하의 국군 7사단, 8사단 섬멸
1951년 1월 육군참모차장
1951년봄 제3군단장
1951년 5월 현리전투 참패

이후 이승만정부에서 1군사령관, 합참의장, 박정희정권에서 주태국, 주이탈리아, 주스웨덴대사와 국방장관을 역임했고 2006년엔 전시작전권이양에 반대하는 전직 국방장관 성명에 참여했습니다.

 
 
 
 

‘대한민국 군번 3번.’

제3대 합참의장(1957~59년)과 제19대 국방장관(1971~73년)을 지낸 유재흥 예비역 육군 중장이 90살을 일기로 27일 별세했다. 군은 합참장의위원회(위원장 정승조 합참의장)를 꾸리고 합참장으로 장례식을 치르기로 했다. 군번에서 보듯 그는 한국군 최고 원로 가운데 한명이다. 하지만 후배 군인들이 그를 마음껏 기리기에는 그의 삶의 궤적이 간단치 않다.

근현대사 연구자들에게 유재흥 장군은 2대에 걸친 ‘부자 친일 장교’로 유명하다. 그의 부친 유승렬은 일본 육사(26기)를 졸업한 뒤 태평양전쟁에 참전해 육군 대좌(대령)로 일제 패망을 맞았다. 유 장군도 아버지 뒤를 이어 일본 육사(55기)를 나왔으며 1943년 보병 대위 시절 이광수·최남선 등과 함께 일본 메이지대학에서 조선인 학병 지원을 촉구하는 연설을 했다. 이런 경력 덕분에 이들 부자는 나란히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됐다.

해방 뒤 이들 부자는 앞서거니 뒤서거니 한국군이 됐다. 아버지 유승렬은 1948년 1주일간 특별훈련 뒤 한국군에 편입돼 102여단장과 1사단장을 지냈다. 1950년 3사단장으로 한국전쟁을 맞았고, 이후 경남과 부산지구 계엄사령관을 지낸 뒤 전역했다. 아들 유 장군도 1946년 군사영어학교 졸업과 동시에 대위로 임관했고, 28살에 별을 달고 1949년 제주도지구 전투사령관으로 4·3항쟁 ‘토벌작전’을 지휘했다. 뒤이어 태백산 지구 전투 사령관을 역임했다. 친일부역 장교에서 빨갱이 때려잡는 국군으로 변신한 셈이다.

한국전쟁 당시 유 장군은 지휘하는 부대마다 패전의 기록을 쌓는다. 전쟁 발발 때는 자신이 지휘하던 7사단이 무너지며 서울이 함락됐고, 2군단장 시절엔 휘하 6·7·8사단을 몰아 북진을 재촉하다 중공군에게 반격을 당해 막대한 타격을 입고 군단이 해체된다.

1951년 3군단장 시절엔 ‘한국전쟁 최대의 치욕’으로 불리는 현리전투의 당사자가 된다. 중공군 1개 중대가 후방 퇴각로를 점령했다는 소식에 3군단은 패닉 상태에 빠져 붕괴했다. 유 장군은 비행기를 타고 후방으로 빠졌고, 휘하 3·9사단장은 계급장을 떼고 도망쳤다. 전투다운 전투도 없이 막대한 양의 차량, 야포, 박격포 등이 중공군의 손으로 넘어갔고, 복귀한 병력은 40%가 채 되지 않았고, 군단이 해체됐다. 이 사건을 계기로 미8군 밴 플리트 사령관은 한국군 지휘부(육군본부)의 작전통제권을 박탈하고 미8군의 직접 통제를 받도록 했다.





그는 한국어가 서투른 한국군이었다. 1951~1952년 포로교환·휴전 회담에 미군 통역으로 참여했던 정경모(재일 통일운동가)씨는 저서에 이렇게 기록했다. “(회담장) 뒷자리에서 소곤소곤 일본말이 흘러나왔다. 깜짝 놀라서 뒤돌아봤다. 나중에 알아보니 일본말로 통역하는 이는 한국군 연락장교 이수영 대령이었고, 일본말을 듣고서야 고개를 끄덕이는 사람은 한국군 옵서버로 파견된 유재흥 중장이었다.” 일본 나고야에서 태어나 일본군 아버지 밑에서 교육받은 그에게 모국어는 일본어였던 것이다.

여러 작전 실패 등으로 인해 4성 장군이 되지는 못했지만 1960년 군복을 벗은 뒤에도 유 장군은 승승장구했다. 10여년간 타이·스웨덴·이탈리아 등 외국 대사를 지냈으며, 1971년 국방부 장관으로 임명됐다. 뒤이어 대한석유공사 사장과 석유화학공업협회장 등을 지냈다. 1990년대에는 성우회 회장과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반대 운동에 적극 나서기도 했다.

28일 유 장군 조문을 간다는 군인 몇몇에게 ‘그가 어떤 군인인지 아느냐’고 물었다. “모른다. 옛날 분이잖냐”라는 답이 돌아왔다.

유 장군은 29일 대전 국립현충원에서 영결식을 치른 뒤 장군묘역에 안장될 예정이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

 

다음은 경향신문 -유재흥 장군-관련 보도임!

 

 

ㆍ2대에 걸쳐 일본 육사 나와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유재흥 전 국방장관(사진)이 국립현충원에 안장돼 논란이 일고 있다.

군은 90세를 일기로 지난 27일 별세한 유재흥 예비역 육군 중장의 장례식을 합동참모본부장(위원장 정승조 합참의장)으로 치른 데 이어 29일 국립대전현충원 장군묘역에 안장했다.

대한민국 ‘군번 3번’인 유재흥 장군은 2대에 걸친 ‘부자 친일 장교’다. 그의 부친 유승렬씨는 일본 육사(26기)를 졸업한 뒤 태평양전쟁에 참전해 육군 대좌(대령)를 지냈다. 아버지 뒤를 이어 일본 육사(55기)를 나온 유 장군은 1943년 보병 대위 시절 이광수·최남선 등과 함께 일본 메이지대학에서 조선인 학병 지원을 촉구하는 연설을 했다. 이들 부자의 이름은 <친일인명사전>에 나란히 올라 있다.

20111130.01200118000004.01M.jpg

해방 후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한 유 장군은 6·25전쟁이 일어나자 2군단장에 임명됐으나 중공군에게 패해 군단이 해체됐고, 1951년 3군단장을 맡은 뒤에도 중공군에게 패했다. 이후 밴 플리트 미8군 사령관이 한국군 지휘부(육군본부)의 작전통제권을 가져갔다.

유 장군은 제3대 합참의장(1957~1959년)을 지내고 1960년 군복을 벗은 이후 10여년간 태국·스웨덴·이탈리아 등 외국 대사를 지냈다. 1971년에는 제19대 국방장관으로 임명됐다. 이어 대한석유공사 사장과 석유화학공업협회장 등을 지냈고 1990년대에는 성우회 회장과 부회장으로 활동했다.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반대 운동에 적극 나서기도 했다.

민족문제연구소는 “국립현충원에 <친일인명사전> 등재자 76명이 묻혀 있다”고 밝히고 있다. 이 중 일본군 또는 만주군 장교 출신이 50명으로 가장 많다. 장군묘역에 묻힌 친일파 인사로는 일본군 헌병 출신으로 육군특무대장을 지낸 뒤 육군 중장으로 전역한 김창룡씨가 대표적이다. 그는 김구 선생 암살 배후로 의심받아왔다. 특무부대의 후신인 기무사령부는 매년 기무사령관 명의로 김씨 묘역에 헌화하고 있다.

장군묘역에는 또 일본 육사(26기) 출신으로 일제가 징병제를 실시하자 “기다리던 징병제가 실시됐다”며 청년들의 참전을 선동, 대좌까지 오른 이응준 장군과 만주에서 헌병 상위(대위)로 활동했던 정일권 장군 등도 묻혀 있다.

 

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047건 171 페이지
자유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497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5 2011-12-02
1496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26 2011-12-02
1495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44 2011-12-01
1494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91 2011-11-30
열람중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9 2011-11-30
1492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93 2011-11-29
1491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7 2011-11-28
1490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0 2011-11-28
1489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56 2011-11-28
1488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32 2011-11-28
1487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65 2011-11-28
1486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198 2011-11-28
1485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651 2011-11-26
1484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6 2011-11-26
1483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2 2011-11-26
게시물 검색

34919 대전시 중구 대흥로121번길 8 대전고동창회관 2층 | 회장 : 이왕구
전화 : (042) 257-0005 | 팩스 : (042) 257-0518 | 메일 : daego@daego.kr
Copyright 2001~2024 대전고등학교총동창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