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구 동문 질문에 대한 자료첨부 일제잔재 청산 여론조사‘국민학교'명칭에 관한 앙케이트 > 자유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검색

자유

자유

김용구 동문 질문에 대한 자료첨부 일제잔재 청산 여론조사‘국민학교'명칭에 관한 앙케이트

페이지 정보

작성자 : 25 안병섭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이름으로 검색 ( 댓글 0건 조회 1,830회 작성일 2003-05-27 13:05

본문

도표가 모조리 깨져 나오고 있어 원본을 파일로 올리려 했으나 파일이 100킬로 바이트가 넘어 본인 홈페이지에 올린후 링크시켰습니다. 원본으로 보아야 자료를 볼 수 있을 겁니다.(안원전)

파일로 다운받는 곳Click here *한토마Click here!*동아닷컴Click here!*Joins.com Click here!


일제잔재 청산 여론조사
‘국민학교'명칭에 관한 앙케이트 조사보고 朴 菖 熙

머리말

지난 5월 24일 노태우대통령의 방일을 앞두고 보도매체에서는 일왕의 對韓 사죄문제와 1965년의 한일협정의 부분수정에 관한 논의가 일고 있었다. 필자는 이러한 여론이 크게 일어난 것을 당연한 일로 생각하였으며, 때늦은 감이 있었으나 마쯔시로(松代) 대본영 지하호 공사문제를 계기로 5월 22일, 태평양전쟁 희생자유족회와 더불어 아키히토(明仁)일왕 앞으로 공개서한을 공표하여 일본측의 일대 각성을 촉구한 바 있다. 그것은 일본측이 진실로 사죄하고 응당한 배상을 하지 않는 한, 한국의 그 어떤 기관·단체나 개인도 그 엄청난 민족적 재난과 개개인의 희생에 대해서 이제는 잊어버리자고 할 수는 없겠기 때문이다.
한편으로, 우리는 우리 스스로가 아직도 식민지시대에 씌워진 황민화(민족말살정책)의 멍에를 벗어던지지 않고 그대로 덮어쓴 채 세월을 허무하게 지내오지는 않았던가 하고 자문하게 되는 것이다. 즉 우리 모두가 구체적이면서도 선명하게 식민지시대의 잔재를 청산하고 일본에 대해 민족적으로나 개인적으로 당연히 요구할 것을 요구해 왔다고 한다면, 왜 오늘날까지도 기본적이고 초보적인 이같은 문제가 미해결인 채로 남아있겠는가 말이다.
이러한 자각에서 필자는 교육계를 성찰해보는 바, 거기서 중요한 문제의 하나로 ‘국민학교(國民學校)’라는 명칭 제정의 경위와 이에 대한 우리 모두의 대응법이 의식되었다. 이 ‘국민학교’란 명칭은 일제가 대동아전쟁에 돌입하기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철저히 일왕 통제의 군국 ‘국민'을 만들기 위해 기초교육과정의 명칭을 심상소학교(尋常小學敎)에서 이 ‘국민학교'로 바꿔놓은 데서 비롯된 것이다. 그것은 전적으로 군사·정치적 목적에 부합하는 명칭이었으며, 교육내용과 학교운영 역시 그 목적수행에 맞춰 이루어지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기에 일본은 패전후 곧바로 이 국민학교란 명칭을 폐지하고 소학교로 바꿔버렸다.
그러나 어떤 영문에서인지 우리 대한민국에선 여전히 이 명칭을 사용해오고 있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곳에 우리들 스스로가 지난날을 적시에 올바르고 선명하게 청산하며, 스스로를 다져가는 대응법에서 취약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닌가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중견 국민학교 교사 몇 분에게 그 명칭의 제정경위에 대하여 물었더니 하나같이 ‘모른다'고 함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사회에서 중대한 문제가 아닐 수 없는 것이다. 이에 필자는 설문조사를 통해 우리의 문제의식의 실상을 파악하여 하나하나씩 건설적으로 풀어나가는 방도를 취하고자 생각한 것이다. 이러한 설문조사의 동기와 의도에 대해 독자 여러분의 깊은 이해를 구하는 바이다.


1. 조사대상자의 선정과 응답자의 성격

이 조사는 ‘국민학교'라는 명칭의 역사적 제정경위에 대한 인지도를 알아보고, 그 개정의 필요성 및 구체적인 개정방법 등에 대한 의견을 총체적으로 수렴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이 조사는 대상자 집단을 둘로 구분하였는데, 일선에서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초·중·고·대학교의 교사 및 교수들로 구성되는 교육실무자 집단이고, 사회적 여론의 형성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언론계, 종교계, 법조계, 정치계, 학계 등의 전문가들로 구성되는 이른바 여론형성 집단이다.
또한 이들에 대한 조사내용이 대표성과 일반성을 가질 수 있도록 이 조사에서는 난수표를 이용한 무선표집방법(random sampling)으로 조사대상자를 선정하였다.


2. 설문의 구성

설문지는 총 9개 문항의 39개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설문에 대한 조사의 질문유형은 비자유응답식 질문(closed ended question)의 선다형(multiple choice)을 주로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조사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관한 설문
1)성별 2)연령 3)직업
② ‘국민학교'명칭의 제정경위에 대한 일반적 인지도 평가
③ ‘국민학교'명칭제정의 역사적 맥락에 대한 인지도 평가
④ ‘국민학교'명칭의 개정 여부에 대한 평가
⑤ 현행 ‘국민학교'명칭의 고수 이유
⑥ ‘국민학교'외의 대안적 학교 명칭
⑦ ‘국민학교'명칭개정의 시기





3.자료의 수집 및 분석

자료수집을 위한 실제조사는 두 기간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는데, 1차로 1990년 9월 5일부터 9월 15일까지 10일간, 2차로는 10월 12일부터 10월 27일까지 15일간 진행하였다.
설문지에 대한 응답은 조사자가 반송우편을 통한 방법(mailing)으로 수집하였다. 구체적인 응답의 발송과 회답현황은 다음과 같다.

꠆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4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 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Ʈ ; 2; 3;ꠏꠏꠇꠏꠏꠏꠏꠏꠏꠏ& # 43023;ꠏꠏꠏꠏꠏꠏꠏꠇꠏ჎ ; 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 23;ꠏꠈ
ꠐ 응 답 자 유 형 ꠐ 발 송 ꠐ 회 답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Ʈ 2; 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Ʈ 2; 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 ;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 & # 4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 23;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 3; & #43023;ꠏꠏꠏꠏꠏꠏꠋ
ꠐ 교 육 실 무 자 집 단 ꠐ 600 ꠐ 413 ꠐ
ꠐ 여 론 형 성 집 단 ꠐ 800 ꠐ 359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 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 &# 43023;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 3; &# 4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3018;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0; 23;ꠏꠏꠋ
ꠐ 합 계 ꠐ 1,400 ꠐ 772 ꠐ
ꠌ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0; 2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023;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 3; ;&# 4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ꠍꠏꠏƮ 2; 3;& #4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ꠎ

이 조사의 설문지는 전체 1천 400부 가운데 772부가 회수되었으며, 코딩 및 펀칭작업을 통해 컴퓨터에 입력되었다. 또한 모든 자료의 처리는 SPSSPC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졌다.
자료의 분석은 먼저 단순빈도(simple frequency)를 통해 조사응답의 전체적인 분포를 살펴본 후, 문항의 성격에 따라 교차분(cross-tabulation)에 의한 카이자승(chi-square) 검증을 통해 집단별 태도나 평가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유의도 수준은 p < 0.05, p < 0.01, p < 0.001의 세가지를 사용하였는데 이들 유의도 수준은 숫자로 나타난 제반 통계적 차이가 단순히 표본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오류에 의한 것이 아니라 실제로 다른 모집단의 차이를 반영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4. 조사결과

⑴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관한 설문
이 조사의 최종 응답자는 교육실무자 집단 600명 가운데 설문에 응한 413명과 여론형성 집단 800명 가운데 설문에 응한 359명이었다.

응답자의 직업별 분포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 2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Ʈ 2; 3;& #4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3023;ꠏꠏꠏꠇꠏꠏꠏꠏꠏꠏꠏꠏ 302; 3;ꠏꠏꠏꠏꠏꠏꠇꠏꠏꠏꠏꠏƮ 23; ;&# 43023;ꠏꠏꠏꠏꠏꠏꠏꠈ
ꠐ 직 업 ꠐ 빈 도 ꠐ 비 율(%)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430; 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 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Ʈ 23; ;&# 43023;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Ʈ 23; ;&# 43023;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 3; 3023;ꠏꠏꠏꠏꠋ
ꠐ 교 육 실 무 자 ꠐ 413 ꠐ 53.5 ꠐ
ꠐ 여 론 형 성 층 ꠐ 359 ꠐ 46.5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Ʈ 23; ;&# 4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430; 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 3;& #43018;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02; 3;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023;ꠏꠋ
ꠐ 합 계 ꠐ 772 ꠐ 100.0 ꠐ
ꠌ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ꠍ&# 430; 2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1; ;&# 4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ꠎ ;

1) 성별 - 이 가운데 여론형성 집단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다시 성별, 연령별, 직업군별로 구분하였는데, 먼저 응답자의 성별분포를 보면, 여론형성 집단 가운데 남자가 전체의 77.4%를 차지하고, 여자는 13.9%를 차지해 절대적으로 남자의 수가 많았다.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 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ꠇꠏ჎ 3;+ 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ꠇꠏ+ 023; ;&# 4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ꠈ
ꠐ 성 별 ꠐ 빈 도 ꠐ 비 율(%)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 430; 2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 023; ;&# 4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ꠐ 남 자 ꠐ 278 ꠐ 77.4 ꠐ
ꠐ 여 자 ꠐ 50 ꠐ 13.9 ꠐ
ꠐ 무 응 답 ꠐ 31 ꠐ 8.6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Ʈ 23; 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 3;+ 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 023; ;&# 43023;ꠏꠏꠏꠏꠏꠏꠏꠋ
ꠐ 합 계 ꠐ 359 ꠐ 100.0 ꠐ
ꠌ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ꠏ&# 430; 23; ꠏꠏꠏ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ꠏꠏ+ 023; ;&# 43023;ꠏꠏꠏꠏꠏꠎ


2) 연령 - 여론형성 집단 응답자의 연령분포를 살펴보면 51-60세까지가 29.2%로 가장 많았고, 41~50세 연령의 응답자는 23.7%를 차지해 40, 50대가 과반수 이상을 차지했으며, 그 다음은 30세 이하(18.7%), 31~40세(15.9%), 60세 이상(12.3%)의 순으로 나타났다.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Ʈ 23; 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ꠏꠏꠏꠏꠏꠏꠏꠏꠇꠏꠏꠏꠏꠏꠏꠏ჎ 3;+ 023;ꠏꠏꠏꠏꠏꠏꠇ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 43023;ꠏꠏꠏꠈ
ꠐ 연 령 ꠐ 빈 도 ꠐ 비 율(%)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 430; 23; 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 43023;ꠏꠋ
ꠐ 30세 이하 ꠐ 67 ꠐ 18.7 ꠐ
ꠐ 31~ 40세 ꠐ 57 ꠐ 15.9 ꠐ
ꠐ 41~ 50세 ꠐ 85 ꠐ 23.7 ꠐ
ꠐ 51~ 60세 ꠐ 105 ꠐ 29.2 ꠐ
ꠐ 60세 이상 ꠐ 44 ꠐ 12.3 ꠐ
ꠐ 무 응 답 ꠐ 1 ꠐ 0.3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Ʈ 23; 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 023;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 43019;
ꠐ 합 계 ꠐ 359 ꠐ 100.0 ꠐ
ꠌ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430; 23; ꠏꠏꠍ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ꠎ


3)직종 - 여론형성 집단 응답자의 직업군별 분포를 보면, 대학총학생회 출신의 학생 및 교직원들이 전체의 18.9%를 차지하고 있으며, 각종 사회단체(18.1%) 및 의료계(17.3%)에 종사하고 있는 응답자들의 비율이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다음으로는 법조계(12.0%), 언론계(10.9%), 정치계(10.3%)의 순이었으며, 연구소(7.8%)와 종교계(4.7%) 출신의 응답자 수는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 4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430; 23;ꠏꠏꠏꠏꠇ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02; 3;& #43023;ꠇ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ꠈ
ꠐ 직 업 군 ꠐ 빈 도 ꠐ 비 율(%)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430; 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Ʈ 23; 3023;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 43018;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ꠐ 언 론 계 ꠐ 39 ꠐ 10.9 ꠐ
ꠐ 종 교 계 ꠐ 17 ꠐ 4.7 ꠐ
ꠐ 의 료 계 ꠐ 62 ꠐ 17.3 ꠐ
ꠐ 법 조 계 ꠐ 43 ꠐ 12.0 ꠐ
ꠐ 정 치 계 ꠐ 37 ꠐ 10.3 ꠐ
ꠐ 연 구 소 ꠐ 28 ꠐ 7.8 ꠐ
ꠐ 사 회 단 체 ꠐ 65 ꠐ 18.1 ꠐ
ꠐ 대학학생회 ꠐ 68 ꠐ 18.9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430; 2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02; 3;& #43023;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Ʈ 18; 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ꠐ 합 계 ꠐ 359 ꠐ 100.0 ꠐ
ꠌ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Ʈ 23; 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ꠏꠏꠍ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ꠍ჎ 3;+ 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ꠎ

(2)‘국민학교’ 명칭의 제정경위에 대한 일반적 인지도 평가
교육실무자 집단과 여론형성 집단에 대하여 ‘국민학교'라는 이름이 어떻게 붙여졌는지 아는지를 측정한 결과는 아래에 제시된 표와 같다.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02; 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430; 23;ꠏꠇ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ꠇꠏꠏ ;&# 430; 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ꠈ
ꠐ ꠐ 교육실무자집단ꠐ여론형성 집단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02; 3;& #4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Ʈ 23; 3023;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 302; 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ꠐ 인지 정도 ꠐ 빈 도(%) ꠐ 빈 도(%)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 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02; 3;& #43018;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 023; ;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ꠐ 안 다 ꠐ 105(25.4) ꠐ 72(20.1) ꠐ
ꠐ 모 른 다 ꠐ 210(50.8) ꠐ 158(44.0) ꠐ
ꠐ 들은 적이 있다 ꠐ 97(23.5) ꠐ 127(35.4) ꠐ
ꠐ 기 타 ꠐ -( -) ꠐ 1( 0.3) ꠐ
ꠐ 무 응 답 ꠐ 1( 0.2) ꠐ 1( 0.3)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18;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 430; 23; ꠏꠏꠏꠏꠏꠏꠏꠏꠋ
ꠐ 합 계 ꠐ 413(100.0) ꠐ 359(100.0) ꠐ
ꠌ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 4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ꠍ ;&# 430; 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ꠏ 302; 3;& #43023;ꠏꠏꠏꠏꠏꠏꠎ

위의 표를 살펴보면, 먼저 양 집단 응답자들의 대부분이 명칭 제정경위에 대하여 모르고 있음(교육실무자 집단 50.8%, 여론형성 집단 44.0%)을 알 수 있다. 특히 사회 일반의 여론지도층보다는 일선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나 교수들이 ‘국민학교'명칭의 제정경위에 대해 모르고 있다는 사실이 나타나고 있다. 그 명칭의 제정경위에 대해 조금이라도 들은 적이 있다거나 혹은 알고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교육실무자 집단이 48.9%, 여론형성 집단은 55.5%의 비율에 불과하다.
특히 여론형성 집단의 경우, 연령에 따라 명칭제정의 경위를 어떻게 알고 있는가 살펴보면, 연령이 낮을수록 ‘국민학교'명칭의 제정경위를 모르고 있었으며, 반대로 연령이 높은 경우에는 그 경위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형성 집단의 연령에 따른 명칭 제정경위 인식차이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ꠇꠏꠏꠏꠏꠏꠏꠏꠏ ;&# 430; 23;ꠏꠇꠏꠏꠏꠏꠏꠏꠏꠏꠏꠇꠏꠏꠏꠏꠏꠏꠏꠏꠏƮ 15; 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ꠇꠏꠏꠏꠏꠏꠏꠏꠏꠏꠇꠏꠏ+ 023; ;&# 43023;ꠏꠏꠏꠏꠏꠈ
ꠐ ꠐ 30세 이하ꠐ 31~40세ꠐ 41~50세ꠐ 51~60세ꠐ 60세이상ꠐ 계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 430; 23; 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 302; 3;& #43023;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Ʈ 23; 3023;ꠏꠏꠏꠏꠋ
ꠐ안 다 ꠐ 3( 0.8)ꠐ 6( 1.7)ꠐ 15( 4.2)ꠐ 25( 7.0)ꠐ 23( 6.4)ꠐ 73(20.2)ꠐ
ꠐ모른다 ꠐ 43(12.0)ꠐ 38(10.6)ꠐ 43(12.0)ꠐ 23( 6.4)ꠐ 10( 2.8)ꠐ157(44.0)ꠐ
ꠐ들은적이있다ꠐ 21( 5.9)ꠐ 13( 3.6)ꠐ 27( 7.6)ꠐ 57(16.0)ꠐ 9( 2.5)ꠐ127(35.5)ꠐ
ꠐ기 타 ꠐ ꠐ ꠐ ꠐ ꠐ 1( 0.3)ꠐ 1( 0.3)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Ʈ 23; 3023;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 023; ;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 3;+ 023;ꠏꠏꠏꠋ
ꠐ 합 계 ꠐ 67(18.8)ꠐ 57(16.0)ꠐ 85(23.8)ꠐ105(29.4)ꠐ 43(12.0)ꠐ 358(100)ꠐ
ꠌ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ꠏꠏꠏꠏ 302; 3;ꠍꠏꠏꠏꠏ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ꠏꠏꠏꠏꠍꠏꠏ ;&# 430; 23;ꠏ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ꠏ ;&# 430; 23;ꠏꠏꠎ
chi-square=88.53 D.F.= 12 p<0.001 ( )는 %

⑶ ‘국민학교'명칭제정의 역사적 맥락에 대한 인지도 평가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02; 3;& #4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ꠇꠏꠏꠏƮ 23; 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ꠇ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02; 3;ꠏꠈ
ꠐ ꠐ교육실무자집단 ꠐ여론형성 집단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 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 302; 3;& #4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
ꠐ 인지 정도 ꠐ 빈도(%) ꠐ 빈도(%)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 02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430; 19;
ꠐ 안 다 ꠐ 95(23.0) ꠐ 47(13.1) ꠐ
ꠐ 몰 랐 다 ꠐ 224(54.2) ꠐ 187(52.1) ꠐ
ꠐ 들은 적이 있다 ꠐ 94(22.8) ꠐ 125(34.8)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 4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 ;&# 430; 23;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ꠐ 합 계 ꠐ 413(100.0) ꠐ 359(100.0) ꠐ
ꠌ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 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ꠏ 302; 3;& #43023;ꠏꠏ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ꠎ
위의 표를 비교하면, ‘국민학교'명칭제정의 역사적 맥락을 모른다고 응답한 조사대상자들은 교육실무자 집단이 54.2%, 여론형성 집단이 52.1%로 양 집단이 비슷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명칭제정의 역사적 맥락을 들은 적이 있거나 알고 있다고 대답한 응답자는 교육실무자 집단이 45.8%, 여론형성 집단이 47.9%의 비율을 보여 과반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여론형성 집단의 경우, 연령에 따라 명칭제정의 역사적 맥락을 어떻게 알고 있는지 살펴보면 연령이 낮을수록 그 구체적인 경위에 대해 모르고 있었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명칭제정의 구체적인 맥락까지도 알고 있음이 나타났다.
여론형성 집단의 연령에 따른 명칭제정의 역사적 맥락 인식차이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ꠇ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ꠇ 302; 3;ꠏꠏꠏꠏꠏꠏꠏꠏꠇꠏꠏꠏꠏꠏꠏꠏꠏꠏꠇꠏꠏꠏꠏꠏꠏ ;&# 430; 23;ꠏꠏꠇꠏꠏꠏꠏꠏꠏꠏꠏꠏꠇꠏꠏꠏꠏꠏꠏꠏꠏꠏꠈ
ꠐ ꠐ 30세 이하ꠐ 31~40세ꠐ 41~50세ꠐ 51~60세ꠐ 60세이상ꠐ 계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 430; 23; 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 302; 3;& #43023;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ꠐ안 다 ꠐ 2( 0.6)ꠐ 2( 1.7)ꠐ 6( 1.7)ꠐ 14( 3.9)ꠐ 22( 6.1)ꠐ 46(12.8)ꠐ
ꠐ몰랐다 ꠐ 44(12.3)ꠐ 52(14.5)ꠐ 52(14.5)ꠐ 41(11.5)ꠐ 12( 3.4)ꠐ187(52.2)ꠐ
ꠐ들은적이있다ꠐ 21( 5.9)ꠐ 17( 4.7)ꠐ 27( 7.5)ꠐ 50(14.0)ꠐ 10( 2.8)ꠐ125(33.9)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 023; ;&# 43023;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 ;&# 430; 23;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ꠐ 합 계 ꠐ 67(18.7)ꠐ 57(15.9)ꠐ 85(23.7)ꠐ105(29.3)ꠐ 44(12.3)ꠐ 358(100)ꠐ
ꠌ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ꠍ჎ 3;+ 023;ꠏꠏ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ꠏꠏ 302; 3;& #43023;ꠍꠏꠏꠏꠏ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ꠏꠏꠏꠏꠎ
chi-square=80.71 D.F.= 8 p<0.001 ( )는 %

⑷ ‘국민학교'명칭의 개정 여부에 대한 평가
국민학교라는 명칭을 개정하는 데에 대한 태도를 측정한 결과, 양 집단 모두 개정에 동의하고 있었으며, 특히 교육실무자 집단의 개정찬성율이 63.9%에 이른 반면, 여론형성 집단의 그것은 81.1%에 달해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대로 현행 명칭을 그대로 고수하려는 응답자들은 교육실무자 집단이 32.7%, 여론형성 집단이 13.1%로 나타났다. 이를 살펴보면 국민학교 명칭개정에 대하여 막상 교육실무자 집단의 응답자보다는 사회여론을 형성해나가는 집단의 응답자들이 일제하 제정된 명칭개정에 더욱 적극적임을 알 수 있다.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02; 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ꠇꠏꠏꠏꠏꠏꠏꠏꠏꠏ ;&# 430; 23;ꠏꠏꠏꠏꠏꠇ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ꠈ
ꠐ ꠐ교육실무자집단 ꠐ여론형성 집단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430; 2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 302; 3;& #43023;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ꠐ 개정 여부 ꠐ 빈도(%) ꠐ 빈도(%)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 4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430; 23;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ꠐ 그대로가 좋다 ꠐ 135(32.7) ꠐ 47(13.1) ꠐ
ꠐ 개정이 좋다 ꠐ 264(63.9) ꠐ 291(81.1) ꠐ
ꠐ 상관없다 ꠐ 12( 2.9) ꠐ 18( 5.0) ꠐ
ꠐ 기 타 ꠐ 2( 0.5) ꠐ 3( 0.8)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 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02; 3;& #43023;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ꠐ 합 계 ꠐ 413(100.0) ꠐ 359(100.0) ꠐ
ꠌ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02; 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430; 23;ꠏꠏꠏꠍ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ꠎ
(5) 현행 ‘국민학교’ 명칭의 고수 이유
만일 현행 ‘국민학교’라는 이름을 개정하지 않고 그대로 둔다면 그 이유가 무엇이겠느냐는 질문에 교육실무자 집단의 22.5%가 오랫동안 사용하여 정이 들었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고, 여론형성 집단의 7.8% 역시 정이 들었기 때문이라고 답하였다. 이 설문의 경우, 어떠한 상황이라도 명칭을 개정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들은 설문에 응하지 않았기 때문에 무응답 비율이 높다. 또한 기타 항목에는 ‘특별한 문제가 없으면 사용하여 역사적 교훈으로 되새기자’, ‘생활용어가 이미 되었다’, ‘교육제도상의 혼란이 우려된다’하는 현행 이유들이 있었다. 다음은 양 집단의 현행 고수의 이유를 측정한 결과이다.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430; 2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ꠇ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02; 3;& #43023;ꠏꠏꠇ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ꠈ
ꠐ ꠐ교육실무자집단 ꠐ여론형성 집단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 4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430; 23;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ꠐ 현행고수이유 ꠐ 빈도(%) ꠐ 빈도(%)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 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02; 3;& #43023;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ꠐ 개정이 번거롭다 ꠐ 36( 8.7) ꠐ 21( 5.8) ꠐ
ꠐ 과거지사이다 ꠐ 20( 4.8) ꠐ 9( 2.5) ꠐ
ꠐ 정이 들었다 ꠐ 93(22.5) ꠐ 28( 7.8) ꠐ
ꠐ 역사적 교훈으로 삼자 ꠐ 2( 0.5) ꠐ 3( 0.8) ꠐ
ꠐ 기 타 ꠐ 20( 4.8) ꠐ 5( 1.4) ꠐ
ꠐ 무응답(현행반대) ꠐ 242(58.6) ꠐ 293(81.6)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02; 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430; 23;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ꠐ 합 계 ꠐ 413(100.0) ꠐ 359(100.0) ꠐ
ꠌ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430; 2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02; 3;& #43023;ꠍ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ꠎ
* 무응답율이 높은 것은 개정을 원하는 응답자들의 경우 현행 고수이유에 답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6) 국민학교 외의 대안적 학교 명칭
현재의 ‘국민학교’ 대신 다른 이름을 사용할 경우 어떤 것이 좋겠느냐는 질문에 교육실무자 집단의 경우는 전체의 38.5%가 초등학교, 27.8%가 어린이학교라고 답하였으며, 여론형성 집단의 경우는 전체 40.9%가 어린이학교, 36.5%가 초등학교라고 응답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밖에 소학교라고 대답한 응답자들이 교육실무자 집단에서 8.2%, 여론형성 집단에서 10.0%의 비율을 나타냈다. 이밖에 기타로 분류된 응답에서는 위의 보기외에 주춧돌학교, 새싹학교, 기초학교, 보통학교, 초급학교, 시민학교, 민초학교, 우리들의 학교, 어린이 배움터 등과 같은 대답도 있었다. 순우리말로 명칭개정할 것을 제안한 응답자들도 많이 눈에 띄었다.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 4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ꠇ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430; 23;ꠇ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ꠈ
ꠐ ꠐ교육실무자집단 ꠐ여론형성 집단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 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02; 3;& #43018;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ꠐ 학교이름 ꠐ 빈도(%) ꠐ 빈도(%)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02; 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430; 18;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ꠐ 초등학교 ꠐ 159(38.5) ꠐ 131(36.5) ꠐ
ꠐ 어린이학교 ꠐ 115(27.5) ꠐ 147(40.9) ꠐ
ꠐ 소학교 ꠐ 34( 8.2) ꠐ 36(10.0) ꠐ
ꠐ 기 타 ꠐ 32( 7.7) ꠐ 16( 4.5) ꠐ
ꠐ 무응답 ꠐ 73(17.7) ꠐ 29( 8.1)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430; 2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01; 8;& #4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ꠐ 합 계 ꠐ 413(100.0) ꠐ 359(100.0) ꠐ
ꠌ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 4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ꠍ ;&# 430; 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ꠎ
*무응답율이 높은 것은 개정을 원치 않는 응답자들이 이 설문에 답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편 여론형성 집단의 경우 연령에 따른 개정명칭의 선호도를 알아본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순우리말인 어린이학교보다는 초등학교라는 명칭을 선호하고 있었으며, 특히 50대~60대 응답자의 경우는 국민학교 명칭제정 이전의 소학교 명칭을 선호하고 있음이 나타난다. 반대로 연령이 낮을수록 초등학교나 소학교보다는 어린이학교라는 명칭을 더욱 선호하고 있었다.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ꠇ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ꠇꠏꠏꠏꠏ჎ 3;+ 023;ꠏꠏꠏꠇꠏꠏꠏꠏꠏꠏꠏꠏꠏꠇꠏꠏꠏꠏꠏꠏꠏꠏꠏꠇꠏꠏꠏꠏꠏ 302; 3;& #43023;ꠏꠏꠇꠏꠏꠏꠏꠏꠏꠏꠏꠏꠈ
ꠐ ꠐ 30세 이하ꠐ 31~40세ꠐ 41~50세ꠐ 51~60세ꠐ 60세이상ꠐ 계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 302; 3;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 ;&# 430; 23;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ꠐ초등학교 ꠐ 19( 5.8)ꠐ 14( 4.3)ꠐ 34(10.3)ꠐ 46(14.0)ꠐ 17( 5.2)ꠐ130(39.5)ꠐ
ꠐ어린이학교 ꠐ 39(11.9)ꠐ 29( 8.8)ꠐ 39(11.9)ꠐ 32( 9.7)ꠐ 8( 2.4)ꠐ147(44.7)ꠐ
ꠐ소학교 ꠐ 3( 0.9)ꠐ 1( 0.3)ꠐ 5( 1.5)ꠐ 15( 4.6)ꠐ 12( 3.6)ꠐ 36(10.9)ꠐ
ꠐ기타 ꠐ 2( 0.6)ꠐ 5( 1.5)ꠐ 3( 0.9)ꠐ 4( 1.2)ꠐ 2( 0.6)ꠐ 16( 4.9)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 430; 23; 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 302; 3;& #43023;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ꠐ 합 계 ꠐ 63(19.1)ꠐ 49(14.9)ꠐ 81(24.6)ꠐ 97(29.5)ꠐ 39(11.9)ꠐ 329(100)ꠐ
ꠌ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 023; ;&# 43023;ꠏꠏꠍꠏꠏꠏꠏ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ꠏꠏ ;&# 430; 23;ꠏꠍꠏꠏꠏꠏꠏꠏꠏꠏꠏꠎ
chi-square=46.31 D.F.= 12 p<0.001 ( )는 %
(7) ‘국민학교’ 명칭개정의 시기
‘국민학교’라는 명칭을 개정할 경우, 그 시기를 언제로 하면 좋겠느냐고 물어본 결과 교육실무자 집단에서는 전체의 41.9%가 그리고 여론형성 집단에서는 54.6%가 1991년 3월이라고 답하였다. 또한 지금 당장이나 수년 후에 개정하자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은 양 집단 모두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교육실무자 집단의 경우, 수년 후라고 대답한 응답자들의 비율은 17.7%, 지금 당장이라고 대답한 비율은 15.5%이었고, 여론형성 집단의 경우는 각각 14.5%, 16.7%의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밖에도 공청회 등의 의견수렴 절차를 거치거나 전문위원회 등을 설치하여 충분히 검토한 후, 또는 학제개편과 함께, 지자제 실시와 함께 등의 기타 의견도 제시되었다.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 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ꠇ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ꠇꠏꠏ 302; 3;& #4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ꠈ
ꠐ ꠐ교육실무자집단 ꠐ여론형성 집단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02; 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 ;&# 430; 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ꠐ 개정시기 ꠐ 빈도(%) ꠐ 빈도(%)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430; 2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 302; 3;& #4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ꠐ 지금 당장 ꠐ 64(15.5) ꠐ 60(16.7) ꠐ
ꠐ 1991년 3월 ꠐ 173(41.9) ꠐ 196(54.6) ꠐ
ꠐ 수년 후에나 ꠐ 73(17.7) ꠐ 52(14.5) ꠐ
ꠐ 공청회를 통해 ꠐ 27( 6.5) ꠐ 11( 3.1) ꠐ
ꠐ 기 타 ꠐ 10( 2.4) ꠐ 6( 1.7) ꠐ
ꠐ 무 응 답 ꠐ 66(16.0) ꠐ 34( 9.5) ꠐ
ꠉ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23; ;&# 4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ꠊꠏꠏꠏꠏ ;&# 430; 23;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ꠐ 합 계 ꠐ 413(100.0) ꠐ 359(100.0) ꠐ
ꠌ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 023;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ꠍꠏꠏꠏꠏ 302; 3;& #43023;ꠏꠏꠏꠏꠏꠏꠏꠏꠎ
*무응답율이 높은 것은 개정을 원치 않는 응답자들이 이 설문에 답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맺음말

위에 나타난 결과에 대해 필자는 굳이 어떤 가치판단적인 결론을 내리지는 않겠다. 그것은 본래의 조사의도와 어긋나는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분명하게 짚고 넘어갈 것은 이상의 조사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가 ‘국민학교’라는 명칭을 지속적으로 써오면서 이를 지탱해온 우리 자신들의 내재의식의 본질적 성격이 무엇이었던가가 분명히 파악되었으며, 그것을 바탕으로 앞으로 우리가 어떠한 대응자세를 취해야 하는가에 관한 문제 역시 구체적으로 드러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조사를 시작하고 진행하는 과정에서 한국외대 사학과 대학원생 심재석군과 학부생 최교선군 등 적잖은 학생들의 도움이 있었다. 그리고 마무리 단계에서 중앙일보 조사부 정운현기자의 특별한 이해와 도움이 있었다. 지상을 빌어 여러분에게 감사를 표하고자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047건 233 페이지
자유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567 20 임승웅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이름으로 검색 2365 2003-06-18
566 20 임승웅 이름으로 검색 1878 2003-06-11
565 52 운영자 이름으로 검색 2319 2003-06-13
564 20 임승웅 이름으로 검색 2574 2003-06-10
563 50 황의철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399 2003-06-03
562 53 강신훈 이름으로 검색 2323 2003-06-02
561 52 운영자 이름으로 검색 1920 2003-06-04
560 60 김암 이름으로 검색 2265 2003-05-29
559 62 김종갑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343 2003-05-29
558 25 안병섭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이름으로 검색 2673 2003-05-27
557 25 안병섭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이름으로 검색 2224 2003-05-27
556 25 안병섭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이름으로 검색 1768 2003-05-27
열람중 25 안병섭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이름으로 검색 1831 2003-05-27
554 59 이충재 홈페이지 이름으로 검색 2761 2003-05-26
553 54 김용구 이름으로 검색 1769 2003-05-23
게시물 검색

34919 대전시 중구 대흥로121번길 8 대전고동창회관 2층 | 회장 : 이왕구
전화 : (042) 257-0005 | 팩스 : (042) 257-0518 | 메일 : daego@daego.kr
Copyright 2001~2024 대전고등학교총동창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