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일제 당시 서봉총 금관--이후 훼손 첫 발견! > 자유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검색

자유

자유

단독--일제 당시 서봉총 금관--이후 훼손 첫 발견!

페이지 정보

작성자 :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0건 조회 3,905회 작성일 2015-02-07 14:00

본문

 
 
 
 
 
[단독]
 
 
日帝때 서봉총 발굴이후^^
 
 
 
 
신라 금관 훼손 드러나
1423187772_news_banner_image_0.jpg
1423187772_news_banner_image_2.jpg
1360111581_news_banner_image_5.jpg
1369204799_news_banner_image_5.jpg
1422403961_news_banner_image_5.gif
1422403961_news_banner_image_6.jpg
입력 2015-02-06
 
 
 
중앙박물관, 발굴때 사진 비교 결과…
 
 
금띠 위치 바뀌고 옥장식 4개 사라져


 
 
 
69506724.1.jpg
1926년 발굴 직후엔 멀쩡했는데…
발굴 직후인 1926년 촬영한
 
서봉총 금관(오른쪽 위)
양대가 금못으로 테두리에 고정돼 있다. 테두리 중앙에 달려 있는 곡옥도 선명하게 보인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훼손돼 현재 금관(아래)의 양대는 금못이 아닌 금사로 테두리에 연결돼 있다. 이 때문에 양대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맞가지 세움 장식’에 가려 잘 보이지 않는다. 테두리에 달려 있던 곡옥도 사라졌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view_icon_photo_more.gif
신라 왕릉인 ‘서봉총(瑞鳳塚)’에서 출토된 금관이
 
 
일제강점기에 심하게 훼손된 사실이 드러났다.
 
 
 
일제강점기에 발굴된 신라 금관이
 
훼손됐다는 사실이 밝혀진 건 처음이다.
 
이는 국립중앙박물관이
올해 광복 70주년을 맞아
 
조선총독부가 파헤친
 
신라 왕릉의 재발굴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확인됐다.


 1926년 경북 경주시에서 발견된 서봉총은 조선총독부의 초청으로 발굴 현장을 찾은 스웨덴 황태자가 봉황이 달린 금관 발굴 작업에 참여해 스웨덴을 뜻하는 ‘서전(瑞典)’의 ‘서(瑞)’자와 봉황의 ‘봉(鳳)’자를 따서 명명됐다. 서봉총 금관(보물 제339호)은 ‘양대(梁帶·머리에 쓸 수 있도록 테두리 안쪽에 십자로 붙여 놓은 금띠)’와 봉황 장식을 모두 갖춘 유일한 신라 금관이라는 점에서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높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일제강점기 자료 조사 사업으로 최근 발간한 ‘경주 서봉총Ⅰ’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서봉총 금관의 양대가 테두리(臺輪·대륜)에서 떨어져 나간 뒤 원래 위치가 아닌 엉뚱한 곳에 붙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함께 금관 테두리에 달려 있던 곡옥(曲玉) 6개 중 4개가 떨어져 나간 것도 조사됐다. 이는 일제강점기 때 촬영한 사진과 금관의 부위별 실측 조사를 통해 밝혀졌다.

▼ “1935년 일본인이 금관 외부반출… 평양 기생 씌워주다 망가뜨린듯” ▼

69506764.1.jpg고이즈미 아키오 평양박물관장이 서봉총 금관을 기생에게 씌우고 찍은 사진을 보도한 1936년 6월 29일자 부산일보 기사. 1926년 발굴 직후 촬영한 금관(오른쪽 위 작은 사진)은 일제에 의해 훼손되기 이전의 원형을 간직하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금 관 발굴 직후인 1926년과 조선총독부 박물관에 보관 중이던 1934년에 각각 촬영한 유리 건판 사진을 살펴보면 금관 한가운데 있는 ‘맞가지 세움 장식(出자 형태로 생긴 금장식) 왼쪽 아래에 ‘금못’으로 양대를 고정한 모습이 선명하게 보인다. 또 테두리의 곡옥은 6개가 온전하게 달려있었다.

그러나 현재 곡옥은 2개만 남아 있고, 곡옥이 있던 자리에는 금못이 아닌 ‘금사(金絲·금실)’로 양대가 연결돼 있다. 곡옥이 떨어져 나간 구멍에 양대를 연결해 놓은 것이다.

중앙박물관은 보고서에서 “총독부 박물관이 서봉총 유물을 정식으로 등록한 1939년 12월 자료에 따르면 금관에서 떨어진 곡옥들이 별도 유물 목록에 기재돼 있다”며 “양대를 원래와 다른 위치에 고정하고 곡옥이 대륜에서 떨어진 시점은 1934년과 1939년 사이”라고 결론 내렸다.

양대의 훼손으로 현재의 금관을 머리에 쓰면 기형적인 모양이 된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원래대로 양대를 복원하면 금관을 착용할 때 꼭대기에 있는 봉황 장식이 정확히 정수리 위에 놓인다. 박진일 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는 “당시 신라 금관 장인들이 정수리가 머리의 정중앙이 아닌 후위에 있다는 해부학 지식을 바탕으로 양대의 위치를 잡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신라인의 금속공예 작업이 과학적 사실에 기반해 이뤄졌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일제강점기에 누가, 어떻게 금관을 훼손했을까. 서봉총 금관은 1926년 출토된 뒤 경성(서울)의 총독부 박물관 수장고에 보관됐다가 9년이 지난 1935년 9월 평양박물관 특별전에 대여 형태로 딱 한 번 반출된 적이 있다.

당시 평양박물관장으로 서봉총 발굴을 주도했던 일본인 고고학자 고이즈미 아키오(小泉顯夫)가 특별전 직후 기생에게 서봉총 금관을 씌우고 사진을 찍어 논란이 됐다. 전무후무한 문화재 유린은 9개월 뒤 부산일보 보도로 세상에 알려졌다. 동아일보도 비슷한 시기 ‘평양기생 차릉파의 수난 이야기’라는 부제로 이 사건을 다뤘다.

고이즈미가 금관의 양대와 곡옥을 망가뜨렸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없지만 평양 사건의 시기는 박물관 조사팀이 추정한 금관 훼손 시기(1934∼1939년)에 포함된다. 또 유물이 손상되기 쉬운 외부 반출이 평양 특별전 외엔 없었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다. 중앙박물관 관계자는 “누군가 억지로 금관을 쓰다가 훼손된 것으로 보인다”며 “훼손 시점은 정황상 고이즈미가 주최한 평양 특별전 때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중앙박물관은 문화재위원회 승인을 거쳐 서봉총 금관의 원형 복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올 4월 서봉총 유물 전시회를 열면서 훼손 전후의 금관 사진을 나란히 게시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서봉총의 주인이 여자라는 사실을 확증하는 사진 자료도 함께 발견됐다. 1926년 서봉총 발굴 직후 유물 배치도를 촬영한 유리 건판을 찾아낸 것이다. 지금까지는 발굴 당시 일본 학자들이 유물 배치도를 그린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이 유물 배치도에 따르면 서봉총의 피장자는 여성의 상징인 태환이식(太環耳飾·금귀고리)을 달고 있다. 남성의 경우엔 대도(大刀)를 차고 있다. 박진일 학예연구사는 “그동안 학계에서는 정황만으로 여성일 것이라고 추정했지만 이번에 확실한 증거가 나온 셈”이라며 “고이즈미가 서봉총 조사 자료를 가지고 평양박물관장으로 부임한 사실을 미뤄 볼 때 유물 배치도 원본은 현재 평양에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위의 단독 보도를 해주신
 
 
^^동아일보사측 및
 
 
^^김상운 기자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


관련기사
 
 
 
 
**************************************************************************
**************************************************************************
입력 : 2015.02.06 03:00
 
 
현재 금관 모습, 출토 당시와 달라
 
 
1926년 경주 대릉원 옆 노서동에서 세 마리 봉황이 조각된 금관이 출토됐다. 일제는 이 무덤에 서봉총(瑞鳳塚)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상서로운 봉황'이란 뜻이지만 내력은 그게 아니었다. 당시 스웨덴의 황태자 구스타프 아돌프 6세가 신혼여행차 한국에 왔다가 이 발굴 현장을 방문했다. 황태자가 그때 금제 허리띠를 직접 꺼냈다. 그래서 '스웨덴(瑞典)'과 '봉황'에서 한 글자씩 따서 서봉총(瑞鳳塚)이라 이름 붙였던 것이다.

당시 발굴을 맡았던 조선총독부박물관의 고이즈미 아키오(小泉顯夫)는 일본으로 돌아가는 1946년까지 보고서를 간행하지 않았다. 이후 서봉총 출토 유물들은 국립중앙박물관 수장고에서 보관돼왔다.


1926년 조선총독부박물관 조사 당시 경주 서봉총에서 출토된 금관을 1934년 촬영한 사진(왼쪽)과 현재의 모습.
icon_img_caption.jpg 1926년 조선총독부박물관 조사 당시 경주 서봉총에서 출토된 금관을 1934년 촬영한 사진(왼쪽)과 현재의 모습.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영나)은 지난 2013년부터 추진 중인 일제강점기 자료 조사보고 사업의 13번째 성과물로 '경주 서봉총Ⅰ-유물편'을 발간했다고 5일 밝혔다.
발굴 89년 만에 경주 서봉총 발굴 보고서가 정리돼 나온 것. 박물관은 출토 유물과 유리 건판 사진 등을 중심으로 먼저 유물편 보고서를 완성했다. 유구(遺構)편 보고서는 현재 박물관이 추진 중인 재발굴조사 이후에 간행할 예정이다.

이번 보고서에는 금관을 비롯한 유물 573건의 도면과 사진을 수록했다. 금관을 비롯한 금제품은 순도 분석 결과를 부록으로 담았다.
서봉총 금관은 가운데 세 마리 봉황 장식이 붙었다는 점에서 다른 신라 금관과 명확하게 구별된다. 고이즈미 아키오가 평양부립박물관장으로 부임한 이듬해인 1935년 당시 평양 기생의 머리에 이 금관을 씌워 사진을 찍었다가 당시 신문에 보도됐다. 물의가 빚어졌음은 물론이다.

이번 조사에서 현재의 금관 모습이 1926년 출토 당시 모습과 다른 점이 확인됐다. 박진일 학예연구사는 "현재 금관에는 곡옥(曲玉·옥을 반달 모양으로 다듬어 꿰어 만든 구슬) 장식이 2개뿐이지만 출토 당시에는 최소 5개 있었던 것으로 보이고, 봉황 장식이 금못으로 고정됐던 것과 달리 현재는 금실로 엮은 사실을 확인했다"며 "1935년 평양 기생의 머리에 씌우면서 장식이 떨어진 게 아닐까 추정된다"고 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오는 4월 21일부터 6월 21일까지 테마 전 '다시 보는 신라 고분, 서봉총(가제)'을 개최해 이번 사업의 성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위의 보도를 해주신 ^^조선일보사측 및 ^^허윤희 기자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047건 39 페이지
자유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3477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031 2015-02-08
열람중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906 2015-02-07
3475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419 2015-02-07
3474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888 2015-02-07
3473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91 2015-02-07
3472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907 2015-02-06
3471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4 2015-02-06
3470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897 2015-02-06
3469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32 2015-02-05
3468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735 2015-02-04
3467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584 2015-02-04
3466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61 2015-02-03
3465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76 2015-02-03
3464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59 2015-02-02
3463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22 2015-02-02
게시물 검색

34919 대전시 중구 대흥로121번길 8 대전고동창회관 2층 | 회장 : 이왕구
전화 : (042) 257-0005 | 팩스 : (042) 257-0518 | 메일 : daego@daego.kr
Copyright 2001~2024 대전고등학교총동창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