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의 역사 인식-양심학자^ 미야지마 히로시-일본및 한국에 질타? > 자유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검색

자유

자유

$$ 일본의 역사 인식-양심학자^ 미야지마 히로시-일본및 한국에 질타?

페이지 정보

작성자 :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0건 조회 1,126회 작성일 2013-03-31 02:37

본문

 
 
 
 
 
 
 
일본의 역사인식, 근대화 패러다임에 경도돼 있다
 
 
 
 
 
 
■ '日 역사관… ' 펴낸 미야지마 히로시 성균관대 교수

아시아에서 벗어나 유럽 지향
서구중심적 관점 현재까지
객관성 결여 탓 주변국과 갈등

한·중 근대화에 뒤처지고 서구열강에 대처 못한 이유

유교지배체제 탓 단정은 잘못
입력시간 : 2013.03.28 22:01:33
  • 내년 2월 정년퇴임하는 미야지마 교수는 "이와나미 신서로 <한국통사>를 내고 한국 족보에 관한 책을 쓰는 등 당분간 책 집필로 분주할 것 같다"고 말했다. 홍인기기자 hongik@hk.co.k
"근대 이후 일본인들은 일본 역사와 사회의 특색을 한국ㆍ중국과는 이질적인 것으로, 서구와는 유사한 것으로 보는 담론을 끊임없이 재생산해왔다. 그것이야말로 일본이 주변국과 역사인식을 둘러싼 대립을 해결하지 못하는 가장 큰 원인이다."

미야지마 히로시(宮嶋博史ㆍ65)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교수는 28일 이 같은 담론의 중심에 "러일전쟁 직후부터 일본 학계에 등장한 일본 봉건제론과 한국ㆍ중국의 유교망국론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미야지마 교수가 일본인들의 역사 인식에 문제제기한 <일본의 역사관을 비판한다>(창비 발행)는 책을 냈다. 정치적인 의도를 담아 일본학계가 생산해내고 대중들은 무비판적으로 믿어온 일본사 인식의 문제점을 지적한 자신의 글들을 묶었다.

도쿄대 동양문화연구소 교수를 거쳐 2002년부터 성균관대에 재직 중인 미야지마 교수는 대표적인 일본인 한국사 연구자다. 조선시대 사회경제사를 전공해 중국과 한국이 14세기를 전후해 소농사회를 형성해 일찌감치 '유교적 근대'를 일궜다는 주장을 펴왔다. 서구 중심의 근대 개념으로는 동아시아를 충분히 해명할 수 없다며 '다양한 근대'를 주장한 알렉산더 우드사이드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 명예교수의 논지와도 통한다.

일본의 진보적인 역사학자들조차 이처럼 일본 근대화시기의 이데올로기에 경도된 일본사 인식에 갇혀 있다고 지적하는 그를 이날 서울 시내에서 만났다.

-한국이나 일본의 역사를 유럽의 봉건제식으로 구분하는 것은 서구중심주의라고 했다. 하지만 한일의 역사학자들이 그 같은 틀을 고수하는 것은 그 개념이 역사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 설득력이 있기 때문 아닌가.

"봉건제 이야기가 일본에서 나온 건 일본이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뒤 러시아를 이길 수 있었던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찾아나선 결과다. 아시아에서 벗어나 유럽으로 가자는, 처음부터 정치적이고 이데올로기적인 '탈아입구(脫亞入歐)'의 논리다. 물론 도쿠가와시대와 유럽 중세가 비슷한 점이 있지만 다른 면도 많다. 두 사회를 비교하려면 종합적이고 객관적으로 봐야지 공통점만 찾으려 하는 것은 학문이 아니다. 일본의 근세를 봉건제 확립이라는 긍정적인 시각으로 파악하려는 일본사 연구의 주류적인 입장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 그 시기 일본은 무사들이 무위(武威)에 의지해 평화를 유지하는 체제다."

-중국 한국이 근대화에 뒤처졌던 이유가 유교 지배체제였기 때문이라는 주장과 달리 성리학 이념에 바탕한 체제가 당시로서는 효과적인 국가체제였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20세기에 들어 한국이나 중국이 서구열강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것은 그 같은 성리학적 체제의 한계라고도 말할 수 있지 않은가.

"서구가 닥쳐올 때 빨리 적응하기 어려웠던 점은 있다. 유교국가는 정부 규모가 작은 국가다. 과거시험을 통해 관료를 선발하는데 그게 한국은 3년에 한 번 33명이었고 중국도 3년에 300명 정도였다. 아주 작은 정부였던 셈이다. 그리고 문(文)을 중시하고 무(武)를 소홀히 해 군사체제에도 약점이 있었다. 이런 체제가 서구 근대국가의 도전을 받아 문제가 생긴 것이다. 유교에 얽매여 스스로 근대화할 수 있는 힘이 없었다고는 말할 수 없다."(그는 책에서 조선왕조가 주자학이념을 바탕으로 한 국가였기 때문에 서양의 충격에 대응하지 못했고 결국은 일본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는 인식은 일본인이 한국 지배를 합리화하기 위해 주장하기 시작한 담론이라고 강조한다.)

-서구열강을 모방해 일본이 제국주의의 길로 나아간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할 수 있지만, 서구를 좇아 사회체제를 빨리 변화시킨 것은 올바른 선택이지 않나.

"메이지유신 이후 일본 사회는 긍정적인 면이 확실히 있었다. 하지만 제국주의가 되기 전부터 정한론 같은 주장이 분출하고 있었다. 그런 두 측면을 어떻게 종합적으로 평가하느냐는 어려운 문제다. 긍정과 부정을 균형 있게 보는 것이 어려운 데 일본은 긍정적인 면만 보고 싶었던 것이다."

-이런 주장에 대한 일본 역사학계의 반응은.

"지난 1월 도쿄대 고마바캠퍼스에서 일본 역사학연구회 분과인 근세사부회ㆍ서양사부회 공동 주최 심포지엄에서 토론 됐다. 젊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보인 것이다. 하지만 그 동안 이런 주장에 대해 일본학계는 거의 무반응이었다.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선뜻 답이 안 나온다고 느꼈던 것 같다. 일본 역사학계는 갈수록 전문화가 진행되면서 근대화 같은 거대담론은 관심 대상에서 멀어지고 있는 형편이다."

-일본 학자들이 새로운 역사인식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말인가.

"지금까지 일본 역사학을 지배했던 패러다임은 근대화 패러다임이다. 지금 일본의 문제점은 근대라는 시대 자체의 문제이기도 하다. 따라서 문제 극복은 근대 자체를 비판하고 극복하는 방향이어야 한다. 근대는 하나만이 아니고 각 지역에서 경험한 여러 종류의 근대가 있다. 각국의 근대는 어떤 차이가 있고 각자 어떤 장점이, 약점이 있는지를 세계적인 규모로 확인해가는 과정에서 근대라는 패러다임을 극복할 길이 열릴 것이다."

-책에서 일본이 거대한 역사적 전환점에 있다고 이야기했다.

"그 동안 일본적인 시스템이 잘 작동해왔는데 1990년대 초반 거품경제가 꺼지면서 그 시스템이 무너지기 시작했다. 지금은 그것을 대신하는 시스템이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 대안이 나오지 않고 있는 상태다. 이대로 일본을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을 모두가 인식하고 있다.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를 알지 목하는 혼란ㆍ혼돈된 상태다."
 
 
 
**********************************
 
 
 
 
 
 

 

 

 

 

 

 

 

 

 

 

 

 

 

 

日 잘못된 역사인식은 결국 자기 손해

 
 
 
 
 
 
 
 
 
 
기사입력 2013-03-28
 
 
 
 
 
 
 
일본의 역사관을 비판한다’ 책 펴낸
 
 
 
 
 미야지마 히로시 교수
 
 
 
 
 


최근 ‘일본의 역사관을 비판한다’를 출간한 미야지마 히로시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교수. 그는 “역사적 사실을 제대로 모르는 일본 젊은이가 많아지면 외국인들에게 망신을 당할 수밖에 없다”고 일갈했다.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 “한국과 일본의 역사 갈등은 기본적으로 잘못된 역사 인식을 가진 일본의 문제입니다. 역사 갈등이 불거지면 일본이 국제사회에서 비판받게 되고, 역사적 사실을 제대로 모르는 일본 젊은이가 많아지면 외국인들에게 망신을 당할 수밖에 없습니다. 일본이 21세기 국제사회의 일원이 되려면 결국 일본에 손해를 끼치는 바보 같은 행동을 고쳐야 합니다.” 》


일본인으로서 조선사와 한국근대사를 연구하며
한일 역사학계의 교류에 힘써온
미야지마 히로시(宮嶋博史·65·도쿄대 명예교수)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교수가
일본의 역사 인식에 일침을 가했다.
그는 최근 자신의 논문을 모아
‘일본의 역사관을 비판한다’(창비)라는 날카로운 제목의 책
출간했다.

27일 성균관대에서 미야지마 교수를 만났다.
일본 문부과학성이 독도 영유권 주장을 강화한 고교 사회과 교과서 검정을 통과시킨 다음 날이었다.
교과서 검정 결과에 대해 그는 “한국이 너무 예민하게 반응할 필요는 없다”고 했다.
“현재 한국이 독도를 실효 지배하고 있으니 한국은 냉정해질 필요가 있어요.
반대로 일본이 실효 지배 중인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의 국유화를 선언했을 때
중국이 강력히 항의하며 분쟁을 일으킨 사례를 보세요.
크게 보면 한국과 일본은 서로 협력해야 하는 관계인 만큼 지혜롭게 해결해야 합니다.”

미야지마
교수는
이 책에서
아시아를 벗어나 서구를 지향한다는
일본의 ‘탈아입구(脫亞入歐)’적 역사 인식을
강하게 비판했다.
일본은 그동안 봉건제를 성공적으로 극복하고 근대화에 성공한 자국의 역사는
한국, 중국과는 다르다며
서구 역사와 비슷하게 보려는 경향이 강했다.
이런 인식이 일본 역사를 미화하고 한국과 중국에 대한 침략의 합리화로 이어졌다.
그는
일본측의 서구에 대한 열등의식, 그리고 한국과 중국에 대한 우월의식이 이런 담론을 낳은 토양”이라며
21세기 들어서도 여전히 비슷한 담론이 모양만 약간 바뀐 채 반복되는 것이야말로 심각한 문제”라고 비판했다.

그는 일본 대중의 역사 인식도 바로잡아야 한다며
일본에서 유럽사에만 치우치지 말고
한국과 중국의 역사를 적극 가르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21세기 들어 세계가 동아시아를 주목하는 가운데
그 구성원인 한중일 3국이
서로의 역사를 바로 이해해야 진정한 협력도 가능하다는 뜻이다.

그는 “이번 책은 일본 역사학계뿐만 아니라
한국 역사학계에 대한 비판도 담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한국 역사학계의 일국사적 시각을 꼬집었다.
“조선을 이해하려면 당시 중국 및 교류사에 대한 이해가 필수입니다. 하지만 한국 역사학계는 외부와의 관계를 경시하고 한국 내부의 역사만 보려는 경향이 있어요.
한국이 중국에 예속됐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까봐 민감해하는 면도 있고요.
하지만 국가 간 관계는 아주 복잡하고 자국의 이익을 위해 온갖 지혜를 발휘한 결과입니다.
이것들을
자주 對 예속, 자율적 사관 對 타율적 사관
이라는
양자택일 논리로 보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미야지마 교수는?
한국사 연구를 위해
2002년 도쿄대 교수직을 그만두고
성균관대 교수로 와 화제가 됐다.
요즘 그는 일본어로 한국사 통사를 쓰고 있다.
내년 일본에서 책을 출간해 일본에 한국사를 바로 알릴 예정이다.
“닫힌 한국사가 아닌 열린 한국사에 초점을 둔 통사를 쓰려 합니다.
내년이 정년인데
40여 년 한국사를 공부한 결실이 되겠네요.”

신성미 기자 savoring@donga.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047건 47 페이지
자유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열람중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2013-03-31
3356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2013-06-29
3355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2017-08-03
3354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8 2014-12-22
3353 67 박시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009-04-28
3352 72 이인복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009-10-30
3351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2007-12-16
3350 42 조중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2008-02-17
3349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2012-06-18
3348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2012-07-07
3347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2012-12-15
3346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2012-12-18
3345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2013-03-02
3344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1 2013-06-08
3343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2 2011-10-25
게시물 검색

34919 대전시 중구 대흥로121번길 8 대전고동창회관 2층 | 회장 : 이왕구
전화 : (042) 257-0005 | 팩스 : (042) 257-0518 | 메일 : daego@daego.kr
Copyright 2001~2024 대전고등학교총동창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