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학계 거두 백낙청과 최장집 > 자유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검색

자유

자유

진보학계 거두 백낙청과 최장집

페이지 정보

작성자 :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0건 조회 3,874회 작성일 2014-11-29 20:16

본문

 
 
 
연관검색어도움말
닫기 후 1주일간 유지됩니다. 연관검색어를 다시 보시겠습니까? 열기

인물 정보

백낙청 문학평론가, 명예교수
출생
1938년 1월 10일 (대구광역시)
소속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가족
백낙환
학력
하버드대학교 대학원 철학 박사
수상
2006년 제11회 늦봄통일상
2003년 옥조근정훈장
경력
한반도평화포럼 공동이사장

뉴스

정확도 최신순

지식백과

  • 백낙청 [白樂晴]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인문과학 > 문학
    [요약] 백낙청의 평론활동은 민족문학론의 정립을 목표로 하여 일관되게 이루어져 왔다. [본문] 1938년 1월 10일 대구 출생. 경기고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브라운대학을 거쳐 하버드대 대학원... 더보기
    출생 1938.1.10 출생지 국내 대구광역시 데뷔 1965. 신동아에 평론 「피상적 기록...
*********************************************************
연관검색어도움말
닫기 후 1주일간 유지됩니다. 연관검색어를 다시 보시겠습니까? 열기

인물 정보

최장집 명예교수, 작가
출생
1943년 5월 24일 (강원도 강릉)
학력
시카고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박사
수상
1991년 제5회 단재상
경력
2009.03~2009.06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사회학과 방문교수
2008.09~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2000.04~2008.08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소장
관련정보
네이버[열린연단] - 제10강 정치와 도덕
에세이 : 대표와 책임
최근 정보확인 날짜 2014.02.06 네이버 인물정보 도움말
네이버 인물정보에서는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인물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본인 및 대리인으로부터
확인된 정보에 '정보확인 날짜'를 표시하고 있으니,
참고하셔서 많은 이용 부탁 드립니다.
본인 및 소속사의 인물정보 수정요청 네이버 인물정보 도움말 닫기
명예교수 최장집프로필 더보기

지식백과

  • 최장집
    위키백과
    최장집 (崔章集, 1943년 5월 24일 ~ )은 대한민국의 진보적 정치학자이다. 한국 민주주의의 현실 및 전망에 대해 적극적인 연구를 해오고 있다.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학사와... 더보기
    출생 1943년 5월 24일 (1943-05-24) (71세) 대한민국 강원도 강릉시
  • 때늦은 추모사
    때늦은 추모사
    열린연단
    최장집 에세이 모아보기 필자 소개 최장집 (고려대 명예교수) 2008.09 ~現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2000.04 ~ 2008.08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소장 2000.04 ~ 2006.08한일공동연구포럼... 더보기
    최장집(고려대학교 명예교수) 부제 로버트 달과 한국민주주의
  • 학문의 중립성과 참여
    학문의 중립성과 참여
    열린연단
    최장집 고려대 명예교수는 “학자의 현실 정치 참여는 그 자체만으로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으로 말할 수 있는 성격의 것이 아니다”라고 전제 후에, “학자의 정치 참여에... 더보기
    최장집(고려대학교 명예교수) 부제 참여의 조건과 소명으로서의 사회과학

뉴스

정확도 최신순
*************************************************************
백낙청
"한국은 군사주권 없는 결손국가"
VS.
장집
"전작권이 자주성 기준 아니다"
[중앙일보] 입력 2014.11.29.
진보 학계의 거두 백낙청과 최장집의 설전
네이버 강연에서 열띤 논쟁
최 교수, '분단체제론'에 맹공
백 교수, 가시돋친 말로 응수

9년 전 신랄한 상호 비판 재연
더 편리해진 뉴스공유, JoinsMSN 뉴스클립을 사용해 친구들과 공유하세요


맹수들은 어지간해서는 서로를 공격하지 않는다. 학계에서도 마찬가지다.
대가들은 서로 존중의 미덕을 발휘한다.
품격이 강조되는 한국 학계에서는 특히 그렇다.

그런데 이런 관행에서 벗어난 보기 힘든 광경이 펼쳐졌다.
한국 진보 학계의 거두인
백낙청(76) 서울대 명예교수와
최장집(71) 고려대 명예교수가 설전을 벌였다.
점잖은 언어로 포장 됐지만 ‘가시’와 ‘뼈’가 있는 말들이 오갔다.
지난 22일 서울 종로구 안국빌딩 W스테이지에서 열린 ‘문화의 안과 밖’ 강연회에서 였다. 네이버 문화재단이 주최한 '릴레이 강연'의 하나다. 백 교수는 ‘근대, 적응과 극복의 이중과제’를 주제로 강연했고, 사회를 맡은 최 교수가 날카로운 비판을 가했다.

백 교수는 한국 사회가 지닌 주요 문제들의 근원을 ‘분단’에서 찾는 일을 해왔다. 반면 최 교수는 민주주의를 강조해왔다. 노동자들의 정치적 의사가 정당을 통해 제대로 대변되는 정치체제에 대한 연구를 많이 해왔다. 두 교수의 시각 차는 1980년대 운동권에서 우리 사회의 ‘근본 모순’을 ‘분단’으로 본 NL(민족해방)계열과 ‘노동 문제’로 본 PD(민중민주)계열의 대립과 유사한 면이 있다.

2005년 최 교수는 한 학술대회에서
“통일을 말할 것이 아니라 민주주의 질적 성장과 평화 정착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시 학계에서는 백 교수에 대한 우회적 비판으로 해석했다. 그리고 이듬해 백 교수는 “분단 현실의 존재를 망각하거나 외면하는 학자들이 많다”면서 최 교수의 실명을 거론했다. 이 일은 당시 학계에서 화제가 됐지만 확전으로 치닫지는 않았다.

10년 가까이의 세월이 흐른 2014년에 재연된 두 대가의 전쟁. 지면에
그 상황을 옮겨봤다.


①백낙청의 강연

백 교수는 강연에서 자신의 대표적 이론인 ‘이중과제론’이 만들어진 경위와 그 내용을 설명했다. ‘근대 적응’과 ‘근대 극복’이라는 이중과제를 처음 언급한 것은 1998년 미국 빙엄턴대의 페르낭 브로델 센터에서 열린 학술대회에서 였다고 한다.
그는 “근대성의 성취와 근대의 극복이라는 ‘이중적 과제’ 설정을 민족문학론 및 분단체제론의 연장선상에 놓았다”고 말했다. 그가 제시한 ‘적응해야 할’ 근대성은 국민국가 수립, 세계 경제에의 능동적 참여, 정치적 민주주의, 과학ㆍ기술 발전 등이다.
‘극복해야 할’ 과제는 서구중심주의, 선진국의 제국주의적 지배, 자본주의 체제에서의 약소국 수탈 등이다. 한국은 근대성을 갖춤과 동시에 근대의 문제들을 해소해야 하는 이중적 과제를 가지고 있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이중과제론은 그의 '분단체제론'과 연결돼 있다.
한반도의 분단으로 남북한 모두 근대성을 불완전하게 갖추고 있다는 것이
분단체제론의 핵심이다.
분단 때문에 한국에서도 자주적인 국민국가가 수립되지 않았고, 정치적 민주주의도 이뤄지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는 “분단체제 극복은 근대 적응 노력이 근대 극복의 노력과 합치됨으로써만 가능하다. 분단체제 극복 작업은 ‘이중과제’의 전형적인 사례다”고 주장했다.


②최장집의 공격

최 교수는 “사회자로서 논평 겸 질문을 드리겠다”며 말문을 열었다. 그는 우선 “근대의 적응과 극복을 설명하는 전체적인 이론의 틀이 거시론적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결정론적인 해석틀을 갖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지적했다. 이어 “근대화의 중요 요소로 ‘민족독립국가’가 제시됐는데, 민족주의적 이념이 배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느껴졌다”고 논평했다.


최 교수의 비판은 계속됐다. “근대화의 중요한 요소는 국가가 주권을 갖는 것, 민주주의 정치체제, 경제적 근대화라고 말 할 수 있는데, (발제 내용에서) 자본주의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극복하는 것이 근대인지, 아니면 비판적으로 극복해야 되는 것인지에 대해 애매한 느낌을 받았다.”

그는 백 교수의 ‘분단체제론’에 대해서도 정면으로 공격했다. “한반도가 분단되어 있지만 남한 사회는 근대화를 꽤 오래 전에 완수해서 민주화도 되고 선진적인 발전국가의 수준에 올랐다. 따라서 남북한 모두가 근대에 적응하는 데 실패했다고 보는 것은 현실에서 많이 벗어난 진단이라는 느낌을 받는다.”


최교수는 한국이 자주성을 온전히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정상적인 국민국가로서의 결함을 갖고 있다는 분단체제론의 핵심 주장에 대해서도 비판을 가했다. 그는 “남한이 전시작전권을 미국에서 넘겨받지 못했기 때문에 국가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내용이 발제문에 들어 있는데, 냉전 시기의 독일이 나토 공동군사체제에 방위를 맡겼다고 해서 불완전한 국가였다고 정의할 수 있는가”라고 물었다.

그는 또 “근대화의 적응과 극복에 시민사회가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설정돼 있는데, 시민사회가 과연 그런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의문이 든다”고 지적했다.


③백낙청의 반격

백 교수는 최 교수의 비판과 지적에 조목조목 반박했다. 그는 우선 “거시론적 이론구조에 의존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이론구조가 거시적이라고 해서 반드시 결정론이 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강연에서) ‘민족독립국가’라는 표현을 쓴 적이 없다”고 답변했다.
그러면서 “(최장집) 선생님이 저에 대해서 가지고 계신 관념이 드러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가령 민족주의자라든가, 국가의 독립이나 민족의 독립을 과도하게 주장하는 사람이라는 …”이라고 덧붙였다. 최 교수가 평소에 자신을 민족 문제에 과하게 집착하는 사람으로 생각해 온 것 아니냐는 뜻의 말이었다. 백 교수는 이날 강연에서 ‘민족독립국가’라는 용어를 쓰지 않았다. 그는 근대의 독립국가를 ‘국민국가’로 표현했다.

백 교수는 근대화 문제에 대해서도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최 선생님은 남한은 근대화가 완성이 되어 있기 때문에 ‘결손국가’(백 교수가 분단으로 인해 국민국가가 덜 완성된 상태를 일컫는 데 사용하는 개념)이든 아니든 문제가 안 된다 이렇게 보는 것 같은데, 우리 사회의 심각한 문제들이 대한민국이 갖고 있는 형식상의 결손성과 관련이 있다고 보는 게 내 입장”이라고 말했다.

군사적 자주성과 관련한 최 교수의 비판에도 강하게 응수했다. “군사주권의 문제는 국가의 온전성을 판단하는 기준 중 하나다. 집단 안보체제에 참여하는 것과 한국과 미국 같은 양자관계에서 한 나라가 다른 나라에게 일방적으로 군사 주권을 이양하는 문제는 질적으로 다르다. 평시작전권만 갖고 전시작전권을 안 갖겠다는 군대는 군대라고 하기가 어렵다.”


백 교수는 시민사회 문제와 관련한 최 교수의 지적에 대해서는 “통일의 과정에서 시민사회의 참여 공간이 넓어지면 주민들의 실질적 요구에 부합하는 통일이 되지 않겠나 하는 이야기를 한 것이지, 오늘날의 정치 현실에서 시민사회의 참여만으로 문제를 해결한다고 말한 바는 없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이렇게 덧붙였다. “최 선생님의 다른 글을 평소에 읽었을 때 시민사회단체들이 정당의 역할을 무시하거나 깎아내리면서 운동을 통해서 해결하려고 하는 그런 부분들을 못마땅하게 생각하고 오늘도 그런 생각을 피력하고 있는데, 저한테는 해당이 안되는 말이다.”

백 교수의 답변 뒤에 최 교수가 재 공격에 나서지는 않았다. 이미 토론이 예정된 시간을 훌쩍 넘긴 상태였다.


@+중앙일보사측 및 ^^이상언 기자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047건 50 페이지
자유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열람중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875 2014-11-29
3311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561 2014-11-24
3310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889 2014-11-23
3309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10 2014-11-23
3308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96 2014-11-23
3307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18 2014-11-23
3306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047 2014-11-22
3305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63 2014-11-22
3304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009 2014-11-22
3303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058 2014-11-22
3302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095 2014-11-22
3301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830 2014-11-20
3300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035 2014-11-19
3299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011 2014-11-18
3298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781 2014-11-16
게시물 검색

34919 대전시 중구 대흥로121번길 8 대전고동창회관 2층 | 회장 : 이왕구
전화 : (042) 257-0005 | 팩스 : (042) 257-0518 | 메일 : daego@daego.kr
Copyright 2001~2024 대전고등학교총동창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