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시장 개방 문제와 우리쌀 경쟁력 제고! > 자유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검색

자유

자유

쌀시장 개방 문제와 우리쌀 경쟁력 제고!

페이지 정보

작성자 :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0건 조회 2,153회 작성일 2014-07-19 17:09

본문

 
 
 
 
다음은 서울신문의 쌀시장개방 관련 보도글 및 사설입니다.
아래 여러글들과 함께 참조 요망합니다.
[내년 쌀시장 개방] WTO와 협상 포기… 실속 못 챙긴 한국[서울신문] 2014.07.19 (토) 일부 농민 단체와 전문가들도 고육지책으로 높은 관세를 매겨 쌀 시장을 전면 개방하는 것이 쌀 산업 발전에 더 유리하다는 정부 입장에 수긍하고 있다. 쌀 관세화를 또 미룰 경우 의무수입물량을 2배 가까이 늘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상 유지를 위해 세계무역기구(
[뉴스 분석] 쌀 수입 파고 넘기 ‘高관세’를 지켜라[서울신문] 2014.07.19 (토) ‘식량주권’ 우리의 주식인 쌀 시장 개방(관세화)은 무조건 막아야 한다는 농민들의 주장이 압축된 단어다. 그러나 정부는 1994년 우루과이라운드(UR) 협상 등 개방 압력에도 지켜 왔던 식량주권을 사실상 포기하기로 했다. 역설적이게도 쌀 시장을 개방하지 않으면 국내 쌀
 
 
 
 
 
 
 
 
다음은 한겨레 신문 보도 글입니다.
정부, 쌀 관세화 발표 또 미뤄 ‘쌀주권 붕괴’ 걱정태산…‘고율관세’ 포기하면 현실될수도 정부 “쌀 관세화 불가피” 역설…전농 홀로 “유예 신청을” 반발 이동필 농식품장관 “쌀 관세화 더 미룰 수 없다” WTO, 필리핀에 쌀 관세화 추가유예…한국의 선택은? [사설] 쌀 관세화, 밀어붙이기 아닌 공론으로 정해야
***************************************
한국일보

ff6a2a6af69e4c9c9a75414f714927df_99_20140715213510.jpg

쌀 전면개방 문제는 난제 중의 난제다. 신뢰 없이는 풀 수 없는 문제다. 높은 관세율로 해결하기도 어려워졌다. 이미 고관세율을 내리기 위한 국제 조약이 준비 중이기 때문이다. 한미ㆍ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이 고관세율을 집중적으로 공격하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 게다가 정부가 말하는 ‘관세화’(쌀 수입 자유화)를 하더라도 해마다 외국쌀 약 41만톤을 수입해야 하는 의무는 없어지지 않는다. 설상가상으로 현재 진행 중인 세계무역기구(WTO) 협상에서 한국이 농업분야 개발도상국 지위를 유지하지 못하면 쌀을 매년 약 20만톤씩 더 수입해야 한다는 것이 정부의 견해이다. 그렇게 되면 60만톤의 외국쌀을 해마다 수입해야 한다는 얘기다. 정부가 지난 11일 국회 쌀 공청회를 앞두고 국회의 서면 질의에 대답한 내용이다.

이처럼 쌀 전면 개방은 어려운 문제이다. 어느 정권이 담당하더라도 험난한 난제이다. 그럴수록 투명하고 정직해야 한다. 쌀 문제 해결에 가장 필요한 것은 신뢰이다. 그런데 정부 스스로 신뢰를 깨버리니 안타깝다. 대표적인 것이 올 9월 말까지 WTO에 관세율을 통보해야 한다는 거짓말이다. 이 문제는 다툼의 여지가 없다. ‘세계무역기구 관세 양허표 수정 개정 절차’라는 이름의 조약 제1항에 나와 있는 문제이다. ‘조치가 완료된 후 3개월 이내에 통지하여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그러니까 내년 1월 1일부터 ‘쌀 관세화’를 하겠다면 내년 3월 31일까지 수정표를 외국에 통보해주면 된다. 국내적으로는 현행 행정절차법에 따라 올 11월 15일까지 관세율을 입법예고하고 이에 따라 내년 1월 1일에 시행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쌀 수출국들은 한국의 쌀 관세율을 충분히 알 수 있다. 일본도 국제법상의 일본 쌀 관세율표가 2001년 12월 15일 발효되기 전인 1999년 4월 1일에 국내법에 따라 약 778%의 관세를 붙여 관세화를 실시했다.

어려운 문제일수록 정직해야 한다. 만일 정부가 대외적 서비스나 전술적 차원에서 올 9월에 미리 관세율을 통보하는 것이라면 국민에게 정직하게 그렇다고 말해야 한다. 마치 한국이 9월까지 통보해야 할 국제법적 의무가 있는 것처럼 말하면 안 된다.

신뢰 없이는 해결 방법이 없다. 정부는 쌀을 전면 개방하더라도 쌀 농사를 유지할 수 있다는 희망과 대책을 국민에게 제시해야 한다. 그런데도 지금까지 정부는 대책을 전혀 내놓지 않고 있다. 지난 11일 국회 쌀 공청회에서도 농민단체들은 정부가 대책을 준 것이 없다고 했다.

신뢰를 얻는 일은 국내 절차를 바르게 이행하는 것과 맞물려 있다. 행정절차법의 입법예고를 통해 쌀 관세화에 대한 국민의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 국내 절차가 완료되기 전에 정부가 쌀 관세율을 다른 나라에 일방적으로 통보하면 안 된다. 행정절차법에서 규정한 국민의 의견 제출권을 깡그리 짓밟고 어떻게 신뢰를 얻을 수 있겠는가?

국회도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쌀 전면 개방을 하려면 국회의 사전 비준 동의를 받은 후에 외국에 관세율을 통보해야 한다. 지금 외국 쌀을 자유롭게 수입할 수 있는 국민은 없다. 양곡관리법 때문이다. 그러므로 쌀을 누구나 수입하게 하려면 양곡관리법을 개정해야 한다. 양곡관리법을 이유로 민간의 쌀 수입을 막다가 이 법을 그대로 두고 쌀 수입 자유화를 할 수 있는가? 일본도 1999년 3월 31일 식량법을 바꿔 다음 달 1일에 쌀 수입 자유화를 시행했다. 하지만 정부는 이러한 상식마저 인정하지 않고 있다. 2007년에 우연히 양곡관리법을 미리 바꾸어 놓았다고 말한다. 국회의 동의가 필요없다고 말한다. 이래선 안 된다. 무대책·편법의 쌀 개방추진을 중단해야 한다. 어려운 문제일수록 정직과 소통의 정도(正道)를 가야 한다.

송기호 변호사
김한호/서울대 교수·농경제학 필리핀이 2017년까지 쌀 관세화를 계속 멈출 수 있게 됐다. 종전 세계무역기구(WTO) 농업협정에 따른 관세화 유예를 새롭게 WTO 설립협정에 의한 관세화 의무면제로...
<포럼>쌀 개방, 촘촘한 農家대책 함께 가야[오피니언 | 2014-04-17]
김한호/서울대 교수·농업경제학 자국의 쌀을 지키려는 필리핀 정부의 노력은 결코 남의 일이 아니다. 필리핀은 159개 세계무역기구(WTO) 회원국 가운데 한국과 함께 장기간 쌀 관세화(關稅化) 유예를...
<포럼>식량 수급 체계 시급히 安定시켜야[오피니언 | 2014-01-13]
김한호/서울대 교수·농업경제학 박근혜정부의 140대 국정과제에는 ‘안정적인 식량 수급체계 구축’이 포함돼 있다. 식량자급률이 세계 최저 수준인 우리나라 실정을 감안해 역대 정부들도 이를 늘...
<포럼>쌀 목표가격 정책 再考할 때다[오피니언 | 2013-06-03]
김한호/서울대 교수·농경제학 6월 임시국회가 3일 개회되면서 여야 정치권의 경제민주화 관련 입법 등을 둘러싼 논란이 예상되는 가운데, 정부의 ‘쌀 소득보전 직접지불 제도’(목표가격 제도) 역시...
<포럼>식량안보 대책의 실효성 높일 방안[오피니언 | 2012-09-26]
김한호/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 교수·농경제학 이명박 대통령이 세계 곡물시장 불안정에 대해 국가 간 공조의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국제적 논의를 이끌고 있다. 8월23일 이 대통령은 서한을 통해 주요...
 
 
 
 
 
 
 
 
@+제목: 우리 개방 이후 경쟁력 제고할 때
 
 
정부가 내년 1월 1일부터 쌀 시장을 전면 개방한다고 공식 선언했다.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어제 기자회견에서 “쌀산업의 미래를 위해 관세화가 불가피하고도 최선이라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쌀 관세화의 의미에 대해서는 “고율의 관세를 부과해 추가적인 최소시장접근(MMA) 물량이 못 들어오도록 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과연 내년부터 우리나라가 의무적으로 수입하고 있는 물량 이상의 외국산 쌀이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을지 여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

정부의 쌀 관세화 방침 천명은 예상했던 일이기는 하나 결단을 내리는 데 적잖은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다. 7·30재·보선을 불과 10여일 앞두고 반대 여론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을 텐데도 불구하고 정면 돌파를 선택한 배경이 궁금해진다. 오랜 시간 질질 끌어봐야 대안이 없다는 판단을 하고 승부수를 던진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가 관세화하기로 결정한 것은 필리핀의 사례가 큰 영향을 미쳤을 법하다. 필리핀은 최근 쌀 관세화 유예를 5년 재연장하는 대가로 MMA 방식에 의한 의무수입 물량을 35만t에서 80만 5000t으로 2.3배로 늘리고, 관세율도 40%에서 35%로 낮추기로 한 바 있다. 우리나라는 1995년부터 올해 말까지 10년씩 두 차례에 걸쳐 관세화를 유예하는 대신 의무수입 물량은 5만 1000t에서 출발했지만 올해는 지난해 국내 소비량의 9%에 해당하는 40만 9000t으로 늘어났다. 관세율은 5%에 불과하다. 만약 우리가 필리핀처럼 관세화 유예를 다시 연장하려면 의무수입 물량을 두 배 이상 늘려야 하는 부담을 떠안게 된다. 정부는 그럴 바에야 시장을 개방하는 것이 국내 쌀 시장을 보호하는 것이라고 해명한다. 관건은 관세율이다. 정부는 300~500% 범위를 벗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국내 쌀 값은 미국산의 2.8배, 중국산의 2.1배 수준이어서 관세율 수준에 따라 가격 경쟁력은 달라진다. 관세율은 우리가 하고 싶은 대로 정하는 것이 아니고 세계무역기구(WTO) 농업협정을 토대로 계산해 WTO에 통보하면 회원국들이 검증하는 절차를 거친다. 우리 쌀이 가격 경쟁력을 갖춰 외국쌀이 추가로 수입되지 않도록 최대한 고율의 관세율을 확보하는 데 모든 역량을 쏟기 바란다.

국산 쌀의 품질 경쟁력을 갖추는 것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우리나라는 쌀 시장 개방을 미루는 동안 일부 동남아 국가에 한해 쌀을 수출했다. 그러나 관세화하기로 한 만큼 수출 시장을 넓히는 등 공격적 자세를 견지할 필요가 있다. 전문가들은 고급쌀을 개발해 쌀도 수출품으로 경쟁력을 갖게 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국산쌀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방안도 적극 강구하기 바란다. 쌀은 단순한 밥짓기용보다는 떡이나 전통술 등 가공 제품으로 개발할 때 부가가치는 높아진다. 쌀 가공산업을 성장산업으로 육성하는 것은 쌀 소비 기반을 넓히고 식량 안보를 위해서도 절실하다.

일본이나 타이완은 관세화 유예기간이 끝나기 이전 쌀 시장을 조기 개방해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정부와 정치권 등이 일사불란하게 대응해 수입 쌀에 높은 관세율을 부과할 수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도 착안해야 할 대목이다. 그러려면 정부와 여야는 불필요한 소모전을 접고 오는 9월 WTO에 통보하는 순간까지 농심을 달래고 쌀산업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데 머리를 맞대야 한다.
2014-07-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047건 59 페이지
자유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3177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86 2014-07-23
3176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2014-07-22
3175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76 2014-07-20
3174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66 2014-07-20
열람중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54 2014-07-19
3172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77 2014-07-19
3171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69 2014-07-19
3170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70 2014-07-17
3169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48 2014-07-17
3168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69 2014-07-16
3167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63 2014-07-16
3166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04 2014-07-16
3165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6 2014-07-14
3164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91 2014-07-13
3163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94 2014-07-13
게시물 검색

34919 대전시 중구 대흥로121번길 8 대전고동창회관 2층 | 회장 : 이왕구
전화 : (042) 257-0005 | 팩스 : (042) 257-0518 | 메일 : daego@daego.kr
Copyright 2001~2024 대전고등학교총동창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