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가 후손은 쪽박 및 日本학자 안중근의거는 법죄아니다! > 자유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검색

자유

자유

독립운동가 후손은 쪽박 및 日本학자 안중근의거는 법죄아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0건 조회 2,460회 작성일 2014-03-02 11:24

본문

 
 
 
 
 
 
위의 제목과 관련한 다음 글을 비장한 마음으로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
조상은 해외에서 독립운동 햇는 데
 
 
후손은 고국서 찬밥
 
 
 
1919년 3월 21일 경북 안동 편항시장 만세시위에 참여했다 옥고를 치른 뒤 중국에서 항일투쟁을 이어간 독립운동가 이승연(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선생의 손자 이무열(65)씨. 그는 2000년 3월 형제 아홉 명과 중국 국적을 버리고 한국으로 귀화했다. 그러나 그토록 그리던 조국 땅에서 그가 맞닥뜨린 것은 가난의 굴레였다. 조국이 이들 형제에게 준 것은 3,500만원이 전부였다. 1인당 350만원 꼴이다.

20140301033905543.jpg
27일 서울 명동의 한 카페에서 만난 이씨는 "14년째 막노동과 청소 일을 하며 겨우 입에 풀칠을 하고 있다"고 했다. 고된 노동으로 무릎 연골이 모두 닳아 2009년 인공관절 수술을 받았고 지난해 4월에는 전립선 암에 걸려 투병 중이다. "그래도 독립운동가의 후손인데 허름하게 사는 모습을 기자에게 보여주기 싫다"며 약속 장소를 따로 잡은 그에게 할아버지의 명예를 지키며 살기란 너무도 어려운 일이었다.

일제강점기 중국 러시아 등에서 항일운동에 헌신한
검색하기"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EB%8F%85%EB%A6%BD%EC%9C%A0%EA%B3%B5%EC%9E%90&nil_profile=newskwd&nil_id=v20140301033905908" target="_blank">독립유공자의 후손들이 한국에 돌아온 뒤 생존 전쟁에 내몰리고 있다. 정착지원금은 턱없이 적고, 일부는 독립유공자의 후손이라는 것을 입증하지 못해 불법 체류자로 살아간다. 불합리한 정책이 낳은 희생양이다.

국가보훈처의 '해외 독립유공자 후손 국내 정착 실태조사'(2011)에 따르면 정착금 지원을 시작한 1990년부터 2010년까지 지원 대상 393명 중 38%(149명)가 무직자, 42%(167명)가 막노동과 식당 일 등 일용직에 종사하고 있다. 또 대부분(89%, 349명)이 무주택자였고, 보훈처가 정한 '생계곤란층'(도시근로자 가계지출의 40% 미만)이 21%에 달했다. 한 후손은 "정부가 직업교육이라도 해 줬으면 이렇게 비참하게 살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후손들의 바람은 '비정상의 정상화'다. 정부는 2005년 6월부터 해외 독립유공자 2,3세 중 1인에게만 지원하던 정착 지원금을 세대 당 최대 7,000만원까지 늘리도록 법을 개정했지만 소급적용은 불허했다. 법 개정 전 귀화했다는 이유로 130명이 이무열씨처럼 가족 수와 관계 없이 3,500만원만 지원 받았다. 이씨는 "똑같이 독립유공자의 후손들인데 왜 귀화시점에 따라 차별을 받아야 하는지 모르겠다"며 "어이 없는 처사"라고 말했다.

독립운동가의 후손임을 스스로 입증해야 하는 것도 문제다. 중국 지린(吉林)에서 항일교육운동을 벌이다 일본군에 피살된 음성국(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선생의 외손자 방흥국(58)씨는 "독립운동가 후손으로 인정을 받겠다"며 1996년 10월 17일 한국에 왔다. 지린성 교육청 장학사 직함도 버린 그에게 보훈처는 "조상과의 관계를 입증하라"고 요구했다.

외조부 고향이 개성이라 가족관계 증명 서류를 구할 수 없었지만 정부는 아무런 도움도 주지 않았다. 20년 가까이 불법체류자 신세로 지내면서 가족들과 다른 독립운동가 후손들의 증언 등을 모아 꾸준히 법무부에 제출한 끝에 지난해 8월 특별귀화 대상자로 선정됐다. 그는 "한국인으로 맞는 첫 3ㆍ1절이 감개무량하다"며 말을 잇지 못했다.

새누리당 황영철 의원은 ▦2005년 6월 법 개정 이전 귀화자에 대한 정착지원금 소급적용 ▦주거지원금 지급 ▦정착에 필요한 기본교육 및 직업훈련 지원 등을 담은 '독립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2012년 8월 발의했다. 그러나 이 법안은 1년 6개월이 지나도록 무관심 속에서 국회에 계류 중이다.
@++위의 내용을 보도해 준 한국일보사측에 감사를 드립니다.
*******************
日 史學者 말씀에
 
 
 
 
"안중근 의사 이토 저격은 범죄 아니다"
 
 
 
 

PYH2012011109580005400_P2_59_20140228203312.jpg
일본나라여대의 나카츠카 아키라 명예교수. (연합뉴스 DB)

나카츠카 나라여대 교수 "일본 역사인식 지지 못받아"

(서울=연합뉴스) 이태수 기자 = "미국과 영국은 제국주의 시대의 부끄러운 역사까지 교과서에 실었습니다. 일본도 자신의 잘못한 과거를 제대로 연구하고 밝혀낸다면 한국·중국·일본 사이의 역사 갈등은 단번에 해결되리라 봅니다."

나카츠카 아키라(中塚明·85) 나라(奈良)여대 명예교수는 28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점점 우경화하는 일본의 역사인식을 비판하며 일본 정부에 일침을 가했다.

그는 1960년대부터 동아시아의 근현대사를 연구하며 일본의 침략사를 파헤친 지한파이자 대표적인 '일본의 양심'으로 불린다.

나카츠카 교수는 3·1절을 기념해 의암손병희선생기념사업회가 마련한 기념 강연을 위해 전날 방한했다.

그는 "일본 정부의 역사 인식은 전 세계 어디에서도 지지받지 못하고 있다"며 "하지만 일본의 언론 풍토에서 양심적인 목소리를 기대하기는 더더욱 어렵다"고 일본 내 뿌리깊은 우경화 경향을 지적했다.

이 때문에 그는 '풀뿌리 역사 교류'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그는 "민간 교류로 역사 인식을 바꾸어 나가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그는 이런 역사 왜곡을 바로잡으려고 민간 교류에 앞장서고 있다. 매년 우리나라의 동학농민운동 격전지를 방문하고 있고, 작년에는 전남도립도서관에 자신이 소장한 자료를 기증했다.

3·1운동에 대한 나카츠카 교수의 생각은 확고했다.

그는 "3·1운동은 동아시아, 더 나아가 세계 민족운동의 기폭제가 된 운동이었다"며 "동학농민운동과 의병전쟁을 계승한 한국 민족운동의 대폭발"이라고 했다.

또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 각지에서 일어난 민족운동 중 가장 큰 의미를 지녔고, 중국의 5·4운동도 3·1운동에서 결정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나카츠카 교수는 일본에서 3·1운동이 제대로 교육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러한 역사적 사실이 있었다' 정도로 간단히 기술될 뿐, 의미나 배경은 애써 외면한다는 얘기다.

그는 "진보적 지식인도 조선 침략, 그에 앞선 동학농민군과 의병 학살에 눈을 감는다"며 "그래서 지금의 일본인은 한국인이 역사 문제를 왜 제기하는지조차 이해하지 못한다"고 개탄했다.

나카츠카 교수는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관방장관이 중국 하얼빈에 안중근 의사 기념관이 들어선 것을 두고 "안중근은 범죄자"라는 망언을 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 봤다. 일본이 제국주의로 들어선 19세기 후반을 '영광의 시대'로 포장하면서, 이토 히로부미까지 '평화적인 인물'로 미화한다는 것이다.

그는 "이토는 군부와는 다르게 평화적이었다는 이미지가 있다"며 "그러나 그는 동학군 학살 작전에 최고 결정권자로 깊숙이 개입한 인물로, 안중근 의사의 저격은 범죄가 아니다"고 말했다.

나카츠카 교수는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천도교중앙대교당에서 열린 강연에서는 '3.1독립정신과 동아시아의 평화'를 주제로 청일전쟁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일본의 조선 침탈을 꼬집었다.

그는 "아직도 일본이 침략문제를 청산하지 못하는 것은 일왕의 전쟁책임 면책이 가장 큰 원인"이라며 "이는 일본의 역사적 무지, 국제감각 불감증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047건 66 페이지
자유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3072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870 2014-04-24
3071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76 2014-04-20
3070 36 이계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69 2014-04-19
3069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59 2014-04-13
3068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5 2014-03-30
3067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772 2014-03-29
3066 55 남상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64 2014-03-24
3065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80 2014-03-08
3064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48 2014-03-08
3063 56 이정몽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79 2014-03-07
3062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10 2014-03-06
3061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88 2014-03-05
3060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45 2014-03-03
열람중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61 2014-03-02
3058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79 2014-03-01
게시물 검색

34919 대전시 중구 대흥로121번길 8 대전고동창회관 2층 | 회장 : 이왕구
전화 : (042) 257-0005 | 팩스 : (042) 257-0518 | 메일 : daego@daego.kr
Copyright 2001~2024 대전고등학교총동창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