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유럽의**平板사회가 어지러운 韓國사회에 주는 교훈은?
페이지 정보
작성자 :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0건 조회 2,130회 작성일 2014-02-06 01:57본문
위의 제목과 관련한 다음의 신선한 충격을 주는 글을 읽어보시면서
이 글이 빈부의 차이가 점점 심해지고 사회 부유층 및 지도층의 빈번하 부패가 줄어들지 않는 듯한
어지러운 한국 사회 각 분야에 주는 교훈은 무엇인지
곰곰히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시길 요망합니다.
*********************************************
[기^고]
北유럽 평판(平板-평평한 널판지)사회
^^살펴보기
덴마크 등 북유럽 국가들은 평판(平板)사회다.
투명성과 낮은 부패, 보편적 복지가 특징이다.
북유럽 루터교회는
국가 주도의 사회복지 수단으로 기능했다.
북유럽의 전체 교회 수는 줄고
있지만
또 북유럽 신화와 모국어를 강조한
정신적 지도자
그룬트비의 애국적 민족주의가
19세기 중반 프러시아·오스트리아에 영토를 뺏긴 외적 상실을
내적 개혁으로 메꾸려는 정신적 운동으로,
대학 위주의 ‘죽은’ 라틴어 교육을 넘어
토론에 입각한 ‘산’ 모국어
교육으로, 또 평생교육으로 확고히 자리 잡았다.
평판사회의 기원은
바이킹 시절로 올라간다.
바이킹들이 타는 배는 갑판과 선실의 구분이 없다.
상석에서 호의호식하는 이와 밑에서 노나 젓는 이의 구분이 없다.
특산품을 주고받는 교역이건 약탈이건 그 결실을 어디 감추고, 누구만 차지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자연스레 투명성이 지배했다.
지금도 북유럽의 민간
항공기에는 일등칸이 없다
.
공무원은 일등칸을 타지 않으며 국가 세비로 사는 왕실도 이에 따른다.
세금을 허튼 데 쓰는지
돋보기로 들여다보고, 사회적 통념에 조금이라도 어긋나면 사소한 것이라도 여론의 철퇴를 맞고 선거에서 패배하게
된다.
평판사회의 교육은 유치원과 초등학교에서부터 다른 아이들과 사귀는 사회성에 초점이
놓인다.
공부를 조금 더 잘한다고 우등생이라고 받들지도 않는다.
대학에 진학했다고 해서 그러지 못한 친구들보다 훨씬 나은 직장이나 보수를 받는 것도 아니다.
그저 서로 가는 길이 다를 뿐이다.
김병호 주덴마크 대사 |
평판사회의 구성원은 생계와 복지를 함께하는 공동체 소속원이다.
유럽연합(EU)에 들어가면서도 이 사회로의 진입에 장벽이 되도록 사법·내무 분야에 대해 예외를 인정받거나 아예 들어가지 않았다.
높은 국민소득에 걸맞게 수입 보장과 최저임금 보장이 엄격하다.
소득의 절반가량을 세금으로 내고
보편적 복지의 뿌리가 깊어서
낸 금액에 따른 차등 연금이 아니라 소득이나 세금 차이와 상관없이 거의 같은 대우를
받는다.
평판사회의 작동 원리를 들여다보면
‘옌테 법칙’이 눈에
띈다.
1930년대에 소설에 등장한 이
법칙,
즉
네가 뭐라도 된 척/
우리보다 똑똑한 척/
우리보다 많이 아는 척/
우리보다 더 중요한 척/
뭐든지 잘하는 척/
모두가 너를 대단하게 여기는 척/
뭔가 우리에게 가르칠 수 있는
척
하지
말라
는 내용은 평판사회의 불문율로 자리
잡았다.
이런 평판사회에는 대등하고 열린 토론이 중요하다.
결론을 내기 전까지 어떤 목소리도 똑같이 중요하지만 일단 결정이 되면 이를 존중하고 지킨다.
나는 반대했다고 거리로 나서거나 고집을 부리지도 않는다.
지구 환경을 지키자고 화석에너지를 쓰지 말자고 합의하면 정권이나 리더가 바뀌어도 꾸준히 지킨다.
물론 북유럽 평판사회가 모든 사회의 절대적 이상형이 될 수는 없다.
이 사회를 지탱하는 보편적 복지가 ‘글로벌 시대’와 어떻게 균형을 이루게 될지도 궁금하다.
그러나 행복도 불편도 함께 나누고 결속을 중요시하는 평판사회의 특징은?
오늘날 한국 사회를 비춰 보는 거울임에 틀림없다.
@++駐 덴마크 대사^^^ 김병호 대사님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지면을 할애해 주신 세계일보사측에게도 감사를
올립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