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校 ,大學 현역同門 필독!-^大學교육 송두리째 및 융합형 수능? > 자유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검색

자유

자유

高校 ,大學 현역同門 필독!-^大學교육 송두리째 및 융합형 수능?

페이지 정보

작성자 :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0건 조회 2,123회 작성일 2013-09-13 01:05

본문

 
 
 
 
 
[시론] 묵, 대학 교육 송두리째 바꾼다[중앙일보(조판)] 2013년09월12일(목) 오전 12:29김도연 서울대학교 초빙교수 전 국가과학기술위원장 우리 사회에는 아직 생소하지만 대규모 공개 온라인 강좌를 의미하는 묵(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은 전통적인 대학 교육을 송두리째 바꿀 수 ...중앙일보(조판)만 검색 관련기사보기
 
 
 
********************
 

[중앙시평] 문과·이과 융합형 수능에 대한 논란

 
 
[중앙일보] 입력 2013.09.12 00:31 / 수정 2013.09.12 00:31
 
 
 
 
오세정
기초과학연구원장
서울대 교수·물리학
지난달 말 교육부가 대입제도 개편안을 발표하면서 수능에서 문과·이과 구분을 폐지하는 것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후, 소위 문·이과 통합 교육에 대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공식적으로는 2002년부터 시행된 7차 교육과정에서 이미 고등학교의 문과·이과 구분이 없어졌지만, 그동안 대학에서 문과·이과 입학전형을 따로 했기 때문에 고교 현장에서는 분리해 교육해왔던 것이 사실이다. 만일 이번 발표처럼 수능이 문·이과 통합형으로 바뀌면 명실상부하게 통합 교육이 실현되는 것이다.

 문·이과 통합을 찬성하는 측에서는 앞으로 21세기 창조경제 시대에 필요한 인재는 스티브 잡스와 같이 문과와 이과를 아우르는 통합형 인재인데, 우리가 문과·이과를 나누어 교육하는 바람에 그런 인재의 출현을 막고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 일각에서는 학생들의 학습 부담이 늘어 사교육이 더욱 성할 것이며, 이공계의 경우 수학 및 과학의 학력 저하가 불을 보듯 뻔하다며 반대하고 있다. 이 문제는 단순히 대입제도 개편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우리 사회가 어떤 인재를 키울 것인가”라는 중요한 문제와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회 각계의 여러 인사들이 참여하는 광범위한 토론이 필요하다고 본다.

 물론 문과·이과로 구분해 교육하는 것에는 큰 장점이 하나 있다. 학생들이 일찍부터 전공을 정하면, 그 분야에 관한 지식을 좀 더 많이 가르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장점은 선진국을 따라가는 상황에서는 매우 유용한 일이었을 것이다. 외국의 선진지식을 수입해 학생들에게 빨리 많이 가르칠수록 선진국을 더 빨리 따라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일본이 개화기에 이 제도를 도입했고, 중국이 지금도 이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이유일 것이다. 아마 우리나라도 근대화·산업화 시기에는 이 제도의 장점이 십분 발휘되지 않았을까 싶다.

 그러나 이제 시대와 우리의 상황이 바뀌었다. 한국은 이미 여러 분야에서 더 따라갈 만한 선진국 모델이 없고, 우리 자신이 앞길을 개척해야 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이런 역할을 수행할 인재들에게는 단순히 한 분야의 지식이 많은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지식을 주위의 다른 지식과 융합하는 능력이 더욱 중요하다. 오히려 한 분야의 편향된 지식은 어떤 경우에는 위험하기까지 하다. 그런 면에서 문·이과 통합 교육으로의 전환은 시대적 요청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문과와 이과를 분리해서 교육한 지 60년이 넘었고, 대학입시가 고교 교육을 좌지우지하는 현실적 상황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입시제도나 교육제도를 개선한다면서 이상만 좇고 현실을 고려하지 않아 조령모개(朝令暮改)가 된 경우가 얼마나 많았던가? 먼저 현재 고등학교는 물론 대학까지 교육과정과 제도가 문과·이과 분리체제에 맞추어져 있어서, 이를 융합 교육에 적절한 체제로 전환하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과 준비가 필요할 것임을 감안해야 한다. 몇 년 전 도입된 고등학교 1학년의 융합과학 과목이 현장에서 정착하는 데 상당한 진통을 겪고 있는 예에서 보듯이, 새로운 교육체계를 도입하는 데에는 교사 양성과 수급, 평가방법 개발, 교과서 개편 등 여러 면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많다.

 더욱 중요한 현실적인 문제는 융합형 수능을 전면적으로 도입한다면 이공계 대학생들의 수학·과학 학력이 저하될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이다. 융합형 교육에서의 수학·과학의 수준은 현재 이과생들이 배우는 수준보다 낮아질 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이공계 대학에 엄청난 교육 부담을 줄 것이다. 그러나 이 문제는 대학 교육에 대한 발상의 전환을 통해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된다. 어차피 과거 우리가 추구했던 산업사회의 인재상은 그 효용을 다하였다. 21세기는 평생학습 사회이고, 대학에서 좁은 전공지식 몇 개를 더 익히는 것보다는 문제를 여러 시각에서 넓게 바라보고 대응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훨씬 중요해졌다. 여기에 부응해 대학교육의 패러다임도 바뀌어야 하는데, 어쩌면 고교에서의 문·이과 통합 교육이 중요한 전기를 마련해줄 수 있을 것이다.

 문과·이과의 통합같이 중요한 사안은 절대로 정권 차원의 실적 쌓기를 위해 졸속으로 처리되어서는 안 된다. 새 제도를 한번 시행했다가 되돌렸을 때의 혼란은 생각하기에도 끔찍하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교육부가 이번 시안을 발표하며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질 때까지 성급하게 추진하지 않겠다고 한 것은 매우 잘한 일이다. 아무쪼록 이제 공론화가 시작된 융합형 인재의 양성 방안이 이번에는 국민적 합의를 거쳐 일관성 있게 시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오세정 기초과학연구원장
서울대 교수·물리학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047건 86 페이지
자유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2772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88 2013-09-15
2771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731 2013-09-14
2770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01 2013-09-14
2769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34 2013-09-14
2768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9 2013-09-14
2767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833 2013-09-14
열람중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24 2013-09-13
2765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44 2013-09-13
2764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23 2013-09-12
2763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68 2013-09-11
2762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13 2013-09-10
2761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22 2013-09-09
2760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793 2013-09-08
2759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70 2013-09-08
2758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0 2013-09-08
게시물 검색

34919 대전시 중구 대흥로121번길 8 대전고동창회관 2층 | 회장 : 이왕구
전화 : (042) 257-0005 | 팩스 : (042) 257-0518 | 메일 : daego@daego.kr
Copyright 2001~2024 대전고등학교총동창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