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陸士 出身 일부 불만 -우리가 積弊 淸算 對象이냐?]
페이지 정보
작성자 :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본문
트랜드뉴스 보기
- 많이 본 뉴스
- 육사 출신 “우리를 적폐로 모나” 술렁
펄펄 끓는 용암에 빠진 여대생 실종…그런데 이런 반전이?
[이형삼 전문기자의 맨 투 맨]얼라이브 데이
[송평인 칼럼]왜 프랑스는 쇠하고 독일은 흥했나
北전략군 “‘화성-12형’으로 괌 포위사격 작전 검토”
‘알몸 승무원’ 내세운 여행사 광고 논란…“역겨워” vs “신선하고 독특”
- ARF 의장성명 “北, 안보리 결의 즉각 완전히 준수해야”
[단독]강인철 폭로 나흘전… 이철성 청장이 “비위 수사” 통보
‘김기덕 사건’ 공동대책위원회가 밝힌 여배우 A의 4년 행적
“보병중심, 불구에 가깝다”던 문재인 대통령… 軍개혁 본격 메스
- 댓글이 핫한 뉴스
- 베스트 추천 뉴스
- “셀트리온, 공매도 피해 방지 위해 코스피로 옮겨야”
홍두승 서울대 명예교수 “신고리 5, 6호기 공사중단 문제, 공론화 대상 아니다”
전두환 측 “공산 독재도 아니고, 회고록 금서 처분 인정 못해”
[송평인 칼럼]왜 프랑스는 쇠하고 독일은 흥했나
[광화문에서/전성철]산으로 간 ‘탈검찰화’
“휴가 따라갔더니 호텔방 육아독박” 할머니들의 한숨
8말9초 위기설 키우는 北 “최후 수단 행동으로 넘어갈 것”
이재용 “아무리 못나도 서민 노후자금 손대겠나” 최후진술서 눈물
전두환 측 “‘택시운전사’ 허위 날조…5·18은 폭동 분명”
- ‘물만난’ 보수야당, 안보 이슈로 文정부 비판기조 이어갈 듯
[문재인 정부 첫 대장 인사]“산 많은 한반도는 지상작전 중심”
해-공군 앞세운 개혁논리 의구심… 공군은 첨단무기 도입 탄력 기대8일 국방부 장관(해군)에 이어 합참의장까지 공군에 내주는 이른바 ‘육군 패싱’을 현실로 맞닥뜨린 육군은 술렁였다. ‘정경두 합참의장 카드’는 지난달부터 회자됐다. 그러나 이날 대장 인사설을 앞두고 해군과 공군을 국방의 빅2에 세우겠다는 창군 이래 최초의 구도는 청와대도 부담스러운 만큼 비사관학교 출신 육군 합참의장을 내세우는 식으로 육군을 배려할 것이라는 말도 돌았던 게 사실이다.
육군 중에서도 육사 출신은 특히 자신들을 국방개혁의 발목을 잡는 적폐로 몰아가는 듯한 분위기에 당혹스러워하는 분위기다. 익명을 요구한 육사 출신의 한 장교는 “육군을 안 쓰면 국방개혁이 된다는 논리는 어디서 나온 것인가. 이번 인사는 육사에 대한 역차별”이라고 했다. 그는 또 “전시 한반도에서의 작전은 산이 많은 지형 특성상 육군이 주도하는 지상작전 중심일 수밖에 없는데 ‘새로운 전쟁 수행 패러다임’만 강조하며 해·공군을 앞세우는 건 이해하기 어렵다”고도 했다.
육사 출신들은 그나마 육군참모총장을 지킨 것에 안도하는 분위기다. 군의 지휘·작전에 관한 명령권을 뜻하는 ‘군령권’을 갖는 합참의장직은 내줬지만 육군의 인사 및 행정 등에 관한 권한을 뜻하는 ‘군정권’은 육사 출신인 김용우 신임 육참총장이 갖게 됐다. 또 다른 육군 관계자는 “육참총장까지 비육사 출신으로 내정했다면 반발이 터져 나왔을 것”이라고 했다.
24년 만의 공군 합참의장 내정 소식에 공군은 ‘표정 관리’를 하는 분위기다. 내부에선 ‘기대 반 우려 반’이라는 기류도 있다. 공군 합참의장 임명을 계기로 장거리 공대지미사일 ‘타우루스’ 등 전시 북한 지휘부 시설 및 핵시설을 정밀 타격할 자산 도입에 탄력을 받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동시에 국방 ‘투 톱’에서 배제된 육군이 정 합참의장 후보자의 작전 지휘에 얼마나 적극 협조할지를 두고는 우려하는 분위기도 없지 않다.
손효주 기자 hjson@donga.com
해-공군 앞세운 개혁논리 의구심… 공군은 첨단무기 도입 탄력 기대8일 국방부 장관(해군)에 이어 합참의장까지 공군에 내주는 이른바 ‘육군 패싱’을 현실로 맞닥뜨린 육군은 술렁였다. ‘정경두 합참의장 카드’는 지난달부터 회자됐다. 그러나 이날 대장 인사설을 앞두고 해군과 공군을 국방의 빅2에 세우겠다는 창군 이래 최초의 구도는 청와대도 부담스러운 만큼 비사관학교 출신 육군 합참의장을 내세우는 식으로 육군을 배려할 것이라는 말도 돌았던 게 사실이다.
육군 중에서도 육사 출신은 특히 자신들을 국방개혁의 발목을 잡는 적폐로 몰아가는 듯한 분위기에 당혹스러워하는 분위기다. 익명을 요구한 육사 출신의 한 장교는 “육군을 안 쓰면 국방개혁이 된다는 논리는 어디서 나온 것인가. 이번 인사는 육사에 대한 역차별”이라고 했다. 그는 또 “전시 한반도에서의 작전은 산이 많은 지형 특성상 육군이 주도하는 지상작전 중심일 수밖에 없는데 ‘새로운 전쟁 수행 패러다임’만 강조하며 해·공군을 앞세우는 건 이해하기 어렵다”고도 했다.
24년 만의 공군 합참의장 내정 소식에 공군은 ‘표정 관리’를 하는 분위기다. 내부에선 ‘기대 반 우려 반’이라는 기류도 있다. 공군 합참의장 임명을 계기로 장거리 공대지미사일 ‘타우루스’ 등 전시 북한 지휘부 시설 및 핵시설을 정밀 타격할 자산 도입에 탄력을 받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동시에 국방 ‘투 톱’에서 배제된 육군이 정 합참의장 후보자의 작전 지휘에 얼마나 적극 협조할지를 두고는 우려하는 분위기도 없지 않다.
손효주 기자 hjson@donga.com
관련기사
원문보기:
http://news.donga.com/Main/3/all/20170809/85741842/1#csidx25d96d0e2de52f3a495dd4900e35d2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