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기영 땜에-黃博士 人口膾炙-이번엔-^매머드 복제 문제]
작성일 17-08-15 03:11
페이지 정보
작성자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조회 1,300회 댓글 0건본문
[단독] 황우석 '매머드 복제' 법적다툼..상대측 '무혐의 처분'
채승기 입력 2017.08.14. 22:00 수정 2017.08.14. 22:25
[앵커]
최근에 물러난 박기영 전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인사와 관련한 논란에서 낯익은 이름이 계속 언급됐습니다. 바로 황우석 박사입니다. 12년 전 '논문 조작' 사건으로 파문을 일으킨 황 박사는 재기를 다짐하면서, 멸종된 고대 동물 매머드 복제를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습니다. 그런데 황 박사의 연구에는 진척이 없었고, 황 박사로부터 시료를 건네받은 제주대 팀에서 오히려 성과가 나오자 양측이 법적다툼에 들어갔는데 검찰이 사실상 제주대팀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황우석 박사 측은 또다시 연구윤리 문제에 휘말리기도 했습니다.
먼저 채승기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황우석 박사가 동굴에 파묻힌 매머드 조직을 손도끼로 떼어 냅니다.
[좋습니다. 좋네요.]
황 박사가 3만년 전 멸종된 고대 동물, 매머드 복제에 나선 건 2012년부터입니다.
시베리아 동토에서 채취한 매머드 조직에서 체세포를 분리해 배양한 뒤, 이를 코끼리에 착상시켜 복원하겠다는 계획으로 당시 과학계가 주목했습니다.
하지만 연구에 큰 진척이 없자 황 박사는 2015년 박세필 제주대 교수팀에게 매머드 샘플을 넘겼습니다.
그런데 그 해 4월 황 박사가 전달한 시료를 통해 박 교수 연구팀이 체세포 배양에 성공했다고 밝히며 갈등이 시작됐습니다.
박 교수 측은 자신들의 기술로 체세포 배양에 성공했으니 연구자 권리를 인정해 달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황 박사 측은 건넨 샘플이 러시아 북동대학 소유이므로 연구 성과 역시 북동대학과 자신들에게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박 교수 측은 정당한 계약 없이는 연구 성과를 넘겨줄 수 없다며 차라리 배양된 세포를 없애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황 박사 측은 횡령과 공갈미수 혐의로 박 교수 연구팀을 검찰에 고소했지만, 검찰은 이달 초 박 교수 등을 무혐의 처분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